광양국가산단 전경. 광양제철소 제공 전남 광양시는 철강산업 침체 우려로 정부가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했다고 20일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위기대응 심의위원회는 20일부터 2027년 11월 19일까지 2년간 광양시를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확정했으며, 이는 여수·서산·포항에 이어 네 번째 지정이다.
광양시는 지역경제의 핵심 기반인 철강산업 의존도가 특히 높아 생산의 88.5%, 수출의 97.5%, 고용의 9.7%가 철강업에서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저가 수입재 증가, 단가 하락, 내수 부진이 겹치면서 지역경제 전반의 침체가 심화되자, 시는 지난달 1일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정부에 신청했다.
광양시는 정부의 신청서 검토와 현지 실사, 관계 부처 협의를 거쳐 지정이 확정되면서, 지역 중소기업과 산업 전반을 위한 폭넓은 지원을 받게 됐다. 향후 2년간 △긴급경영안정자금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우대 △중소기업 금융지원(만기연장·상환유예) △협력업체·소상공인 우대보증 등 다양한 대책이 집중 투입된다.
또한 광양시는 지역산업위기대응 사업을 통해 주력 기업의 금융 부담을 완화하는 이차보전과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도 추진할 계획이다.
시는 올해 초부터 철강산업 위기 현황을 정부와 관계기관에 지속적으로 설명하며 지정의 필요성을 적극 전달해 왔으며, 산업부 실사 과정에서도 지역 산업 구조와 중소기업 실태를 충실히 제시해 지정 타당성을 인정받았다.
광양시는 "이번 지정을 계기로 철강산업 침체로 흔들리는 지역경제가 회복의 전환점을 맞을 것"이라며 "산업 구조의 미래지향적 전환을 통해 지역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