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이 6일 서울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의 대통령비서실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을 하고 있다. 윤창원 기자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은 6일 12.3 내란사태에 행정적 책임이 있는 행위에 대한 선별 필요성을 언급하며 "조만간 관련된 별도의 조직이 필요하다면 발족하는 것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강 실장은 이날 국회 운영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내란 당시 전 부처 공무원들이 역할을 한 것에 대해 조사가 필요하다'는 더불어민주당 김영배 의원의 질의에 "동의한다"며 이같이 답했다.
그는 "내란 특별검사(특검)이 진행되고 있지만 (수사 대상이) 매우 중요한 핵심 사안으로만 한정됐다"며 "더 많은 범위에서, 더 많은 것이 이뤄졌을 가능성을 부인하기 어렵다. 부인할 수 없는 그 상황에 대해서도 행정적인 절차와 책임을 확인해야 한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강 실장은 윤석열 전 대통령의 배우자 김건희씨가 출입이 제한된 문화유산에 출입했다는 의혹을 조사해달라는 민주당 김준혁 의원의 질의에 대해서는 "저희가 대통령실에 왔을 때 이미 많은 기록을 삭제한 상태였다. 저희도 지난 정부의 문제점에 대해 낱낱이 밝히고 싶은 게 한둘이 아니지만 그 모두를 없애버렸던 지점에 대해 양해 말씀을 올린다"고 말했다.
다만 "김씨가 국가의 수장고라든지 주요 문화재에 함부로 들어가서 국민의 역린을 건드린 사태에 대해 발본색원하고, 내용을 다 확인해 보고드리겠다"고 답했다.
한미 관세협상 합의 내용이 담긴 '팩트시트'(설명자료)의 발표 시점에 대해서는 "일방적으로 예단해서 언제까지 된다고 말씀드리기는 쉽지 않다"면서도 "대략 이번 주를 넘기지 않을 것이란 정도로 완만한 협상과 협의가 돼 있다"고 말했다.
원자력 추진 잠수함 관련 내용이 쟁점이냐는 질문에는 "아니다"라며 "미국 부처 안에도 여러 부처가 이 문제에 대해 다부처 사안으로 논의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관세협상 관련 양해각서(MOU) 체결에는 국회 비준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해선 "비준을 할 것인지 법률로서 할 것인지 이런 것들에 대한 논의들은 차제에 하더라도, 모든 내용이 투명하게 국회에 보고돼서 여러 위원님들께서 의견을 모아주시는 과정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