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27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 앞 더불어민주당 천막 당사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류영주 기자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를 향해 내달 1일까지 마은혁 헌법재판관을 임명하라고 촉구하며 "민주당은 주어진 모든 권한을 행사하겠다"고 경고했다.
박 원내대표는 30일 국회 기자간담회에서 "헌법과 법률에 따라 직무를 성실히 수행할 것이라는 국민의 신임을 배신했다고 판단하기에 충분한 기간이 흘렀다"며 "한 총리가 4월 1일까지 헌법수호 책무를 이행하지 않는다면 민주당은 중대한 결심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대 결심이 탄핵을 의미하는가'라는 질문에 박 원내대표는 "이 혼란을 막기 위한 어떤 결단도 할 수 있고, 모든 행동을 다 할 것"이라며 "(국무회의가 예정된) 4월 1일까지 한 총리의 행동을 지켜보고 그 이후에 내용을 말씀드리겠다"고 답했다.
박 원내대표는 "이번 주뿐만 아니라 4월 18일 또는 그 전후까지 국회 본회의를 상시로 열어 국회의 역할을 다하겠다"고도 말했는데, 이는 탄핵안 처리를 대비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탄핵안은 본회의에 보고되고 24시간 이후 72시간 이내에 표결이 이뤄져야 한다.
당내에선 문형배·이미선 재판관의 임기가 끝나는 다음 달 18일 전까지 탄핵심판 선고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이들의 임기를 연장하는 법 개정 방안도 거론된다.
관련해 박 원내대표는 "그런 법률의 발의를 준비하는 의원이 있는 것으로 안다"며 "필요하다면 법률 개정을 관철하는 우리의 행동도 포함돼 있다"고 설명했다.
민주당은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늦어지는 상황에 대해 "'윤석열 복귀 음모'이자 '제2의 계엄 획책'"이라고 주장했다.
박 원내대표는 "2명의 재판관이 퇴임한 뒤 대통령 몫인 2명을 임명해 헌재 기각 결정을 만들어내려는 공작"이라며 "권한대행일 뿐인 한 총리에겐 선출직인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을 임명할 권한이 없다"고 강조했다.
간담회에 배석한 김민석 최고위원도 "헌재 선고가 비정상적으로 지연되는 현 상황은 윤석열 복귀와 제2의 계엄을 위한 총체적 지연작전 때문"이라며 "한덕수, 최상목의 '마은혁 임명 거부'라는 노림수 위에 시간 끌기가 진행됐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