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민 기자1인가구 증가 등으로 소형 아파트 인기가 오르면서 청약 경쟁도 치열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인포는 2일 "지난해 수도권 청약 단지를 분석한 결과, 소형 아파트 1순위 청약 경쟁률이 대형 아파트의 6배를 넘었다"고 밝혔다. 전용면적 60㎡ 미만 경우 일반 공급 물량 1만 1013가구에 36만 4930건이 몰려 33.14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한 반면, 85㎡ 초과는 9067가구 모집에 4만 9411건이 접수돼 경쟁률이 5.45대 1에 그쳤다.
소형 아파트는 상대적으로 분양가가 낮고, 특히 60㎡ 이하는 신혼희망타운이나 생애최초특별공급 등과도 연계돼 청약 가점이 낮은 수요자도 접근하기 쉽다는 게 높은 청약 경쟁률의 배경이라는 분석이다. 보금자리론 등 정부 금융 지원 혜택 적용 가능성도 높아 대출 규제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롭다는 점도 소형 아파트의 매력으로 꼽힌다.
부동산인포는 "소형아파트는 매매와 임대 모두 상대적으로 빠르고 유연하게 이뤄질 수 있어 실수요뿐 아니라 투자 수요도 끌어들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1·2인가구 증가로, 소형 아파트가 사실상 '표준 주택'이 됐다는 점도 소형 아파트 인기 배경에서 빼놓을 수 없는 대목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1·2인 가구 수는 2015년 1019만 7258가구에서 2023년 1417만 5349가구로 8년 새 397만 8091가구나 증가했다. 2023년 전체 가구에서 1·2인가구 비중은 64%를 웃돌았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소형 아파트 거래량도 갈수록 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60㎡ 이하 거래량은 2022년 26만 7904건에서 2023년 28만 3927건으로 증가했고, 지난해(30만 6941건)는 30만 건을 돌파했다.
부동산인포는 "소형 아파트는 실거주와 투자 그리고 제도적 이점을 모두 갖추고 있어 자연스럽게 수요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며 "앞으로 소형 아파트 선호도는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