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식목일 추천…'탄소흡수 효과 뛰어난' 자생수목 10종은?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국립공원공단 선정…"생태계 보전·생물다양성 보호에도 기여"

환경부 제공환경부 제공
NOCUTBIZ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오는 5일 식목일을 맞이해 이산화탄소 흡수 효과가 상대적으로 뛰어난 국립공원 자생수목 10종을 선정했다고 4일 밝혔다.

선정된 수목은 △상수리나무 △물박달나무 △소나무 △졸참나무 △들메나무 △갈참나무 △곰솔 △떡갈나무 △가래나무 △굴참나무다.

국립공원공단은 이들 10종을 선정하기 위해 2023년부터 국립공원에 대한 주요 자생식물별 연평균 탄소흡수량을 조사해 분석했으며, 현재까지 14개 국립공원(설악산, 오대산, 태백산, 소백산, 치악산, 북한산, 태안해안, 월악산, 속리산, 계룡산, 주왕산, 덕유산, 가야산, 경주)에서 84종의 식물에 대한 탄소흡수량 평가를 끝냈다고 전했다.

조사한 자생식물 84종의 연간 평균 탄소흡수량은 7.37kg-CO2/그루이며, 이번에 선정된 10종의 자생수목은 평균 대비 2배 이상의 우수한 탄소흡수 효과를 보였다고 공단은 덧붙였다.

이들 10종은 활엽수 8종(상수리나무, 물박달나무, 졸참나무, 들메나무, 갈참나무, 떡갈나무, 가래나무, 굴참나무)과 침엽수 2종(소나무, 곰솔)으로 구성됐다.

선정된 10종 중에서 연평균 탄소흡수량이 가장 높은 수목은 상수리나무로, 30.12kg-CO2/그루의 효과를 보였다. 물박달나무가 21.51kg-CO2/그루로 뒤를 이었다.

상대적으로 탄소흡수량이 가장 낮은 수목은 굴참나무로 15.36kg-CO2/그루로 나타났다.

국립공원공단 주대영 이사장은 "2025년까지 23개 모든 국립공원에서 자생식물별 탄소흡수량 평가를 완료해 지역별·입지환경별 탄소흡수 효과가 높은 식물정보를 파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