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송파구의 한 부동산중개업소에 토지거래허가제 해제 관련 기사가 붙어있다. 류영주 기자서울시가 '잠삼대청'(잠실·삼성·대치·청담)을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에서 해제한 기간 해당 지역 아파트 매매 거래가 토허제 해제 이전의 네 배 가깝게 급증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직방에 따르면 잠삼대청이 토허제에서 풀린 지난 2월 13일부터 재지정 전날인 지난달 23일까지 39일간 아파트 매매 거래 건수는 모두 353건이었다. 지난 1월 4일부터 서울시의 토허제 해제 방침 발표 전날인 지난 2월 11일까지 39일간 거래 건수 99건의 3.6배 수준이다. 같은 기간 서울 전체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4559건에서 그 2.1배인 9665건으로 늘었다. 토허제가 해제되자 잠삼대청 아파트 거래에 불이 붙은 셈이다.
특히 신고가 거래 건수는 폭증 양상을 보였다. 잠삼대청 신고가 거래 건수는 토허제 해제 전 13건에 그쳤으나 해제 이후에는 6.5배인 84건으로 증가했다. 서울 전체 신고가 거래 건수가 해제 전 362건에서 해제 후 839건으로 2.3배가 된 데 비춰보면 한층 가팔랐던 잠삼대청 신고가 거래 증가세가 뚜렷하게 확인된다.
잠삼대청 중에서는 잠실동 거래가 두드러졌다. 토허제 해제 이후 39일 동안 135건이 거래됐다. 세부 단지로는 역시 리센츠 38건, 잠실엘스 34건, 트리지움 30건 등 '잠실동 3대장' 거래가 많았다. 잠실동에 이어 삼성동 86건, 대치동 71건, 청담동 61건 순으로 아파트 거래량이 많았다.
"토허제 재지정에도 강남권 집값 상승 모멘텀은 여전"
박종민 기자다만, 직방은 "지난달 아파트 매매 계약 건 신고 기한이 이달 말까지인 만큼 정확한 거래량 추이는 변동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직방은 토허제 재지정으로 인해 수도권 부동산 시장은 단기적으로 거래 위축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했다. 김은선 빅데이터랩실 랩장은 "대출 규제 및 세제 강화 조치가 다시 적용되면서 매수자들의 관망 심리가 짙어지는 가운데 시장은 '눈치 보기' 장세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은선 랩장은 그러나 "경매시장에서는 토허제 대상 지역 내 물건 수요가 몰리는 등 상급지에 대한 관심이 여전히 높다"며 "강남권을 비롯한 주요 인기 지역은 공급 부족과 희소성이 부각되면서 조정기 속에서도 강한 가격 방어력을 보이고 있어, 집값 상승에 대한 모멘텀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강조했다.
단기적으로는 관망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지만, 상급지를 중심으로 선별적인 상승 흐름이 나타날 여지도 있어 이번 조정이 일시적인 숨 고르기에 그칠지 아니면 추세적 전환으로 이어질지는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