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 MBK파트너스 제공MBK파트너스 김병주 회장이 홈플러스에 대한 사재 출연에 나섰지만, 여론의 기대와는 달리 고작 600억 원 규모의 대출 지급보증에 나서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11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구조조정 특화 사모펀드인 큐리어스파트너스는 홈플러스에 600억 원 규모의 DIP금융을 제공하기로 했으며, 김 회장은 개인 자격으로 해당 대출의 지급보증을 맡는다.
즉, 홈플러스가 이 대출을 상환하지 못할 경우 김 회장이 대신 변제하는 구조다. 대출 만기는 3년, 금리는 연 10%로 알려졌다.
DIP금융은 법정관리 중인 기업에 제공되는 운영자금 성격의 대출이다. 변제 순위에서 기존 채권보다 앞서는 공익채권으로 분류된다. 이 때문에 일반 채권자들은 후순위로 밀리게 되며, 법원의 허가가 필요하다.
자금 확보가 어려운 회생 기업의 유동성 문제를 해소하는 수단이지만, 다른 채권자 입장에서는 이해충돌 소지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배경이다.
김 회장은 이와는 별도로 지난달에도 홈플러스에 일정 금액의 개인 자금을 증여한 것으로 전해진다. 구체적인 액수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업계에서는 이 또한 전체 회생 필요 자금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DIP금융은 구조상 홈플러스가 결국 갚는 구조인 만큼, 김 회장의 지급보증이 실제 사재 출연으로 보기 어렵다는 반론도 제기된다. 결국 홈플러스가 변제한다면 김 회장의 보증은 명목상의 책임에 불과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치권은 김 회장의 책임론을 더욱 강하게 제기하고 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야당 의원들은 김 회장이 1조 원 이상의 신규 투자와 2조 원 규모의 사재 출연을 통해 실질적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국회 청문회 출석 요구도 본격적으로 추진 중이다.
한편, 홈플러스 자산유동화전자단기사채(ABSTB)에 투자했다가 손실을 본 개인 투자자들로 구성된 비상대책위원회는 이날 서울중앙지검에 김 회장을 비롯해 김광일·조주연 홈플러스 공동대표를 고소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