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항에서 수출 기다리는 자동차. 연합뉴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국의 무역수지 적자국을 타겟으로 '관세 전쟁'을 벌이고 있는 가운
데 한국 대미 무역수지 흑자 규모가 올해 들어서도 지난해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한국의 대미 무역수지 흑자는 133억8천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수준(132억2천만달러)을 유지하고 있다.
작년 전체 대미 무역수지 흑자는 556억3천만달러로 역대 최고 수준을 나타냈는데 올해 들어서도 일단 이런 흐름을 이어가는 모습이다.
다만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본격화한 무역 불확실성의 여파 속에서 한국의 1분기 대미 수출은 2.0% 감소했다.
주력 상품인 자동차 수출이 11.2% 감소한 것을 비롯해 기타기계류(-50.9%), 건설기계(-29.4%), 철강판(-26.5%) 등 품목의 수출이 급감했다.
다만 같은 기간 수출보다 수입이 더 크게 감소하면서 무역수지 규모는 작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올해 들어 한국 무역 환경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커졌지만 트럼프 신정부의 관세 조치가 1분기까지는 채 본격화하지 않았고, 고율 관세 부과를 예상한 미국 수입상들이 각종 상품 주문을 사전에 늘리는 현상도 높은 대미 무역 흑자 유지에 일정한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 정부 통계에 따르면 한국은 작년 미국의 9번째 무역수지 적자국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무역 적자국에 높은 상호관세를 부과하는 등 핵심 표적으로 삼고 있다.
이에 우리 정부는 내주부터 상호관세와 철강·자동차 등 품목 관세에 적용되는 세율 최소화를 목표로 미국 측과 고위급 협상에 나선다.
정부는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가스, 원유, 농산물 등의 구매를 늘리는 수입 확대와 자동차 등 주요 기존 수출 제품의 미국 현지 생산을 늘리는 수출 대체라는 양대 접근 방법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 재임기에 가시적 무역수지 개선 효과가 예상된다는 내용이 담긴 로드맵을 제안할 것으로 관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