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23일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25년도 추가경정예산안 제안설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23일 한미 2+2 통상협의를 앞두고 "단 한 번의 협상으로 끝날 수 있는 성격의 문제가 아니다. 저(미국)쪽에서 요청이 있으니 얘기를 들어보고 예비적 의견을 제시하는 정도의 목적"이라고 밝혔다.
조 장관은 이날 오후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섣부른 대미협상 시도로 졸속협상 우려가 나온다는 질문에 "협상의 속도라든지 마무리하는 시점에 대해 미리 예단하고 싶지 않다"며 "협상이 서로에게 윈윈할 수 있는 방향으로 잘 흘러간다면 그것(마무리)도 가능한 것이겠지만 서둘러서 할 생각은 없다"고 말했다.
조 장관은 "아직 대통령 선거까지 40여일 남고 미국의 관세유예 기간까지 70여일 남아 있기 때문에 그 기간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가 협상전략의 중요한 부분"이라며 "양국 동맹 간의 협상 자체를 거부한다는 것은 옵션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가운데)이 23일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왼쪽은 김영호 통일부 장관. 연합뉴스외교안보 영역에서 권한대행의 권한이 제한돼야 한다는 취지의 지적에는 "손 놓고 있으라는 말씀이냐"고 반문하며 "아무것도 안 하고 가면 차기 정부가 더 힘들 수 있다"고 답했다.
중국이 서해 잠정조치수역(PMZ)에 설치한 구조물에 대해 조 장관은 "비례적 대응 조치를 포함해 실효적인 대안을 검토하겠다는 것이 정부의 입장"이라고 밝혔다.
이날 서울에서 열리고 있는 제3차 한중해양협력대화에서 중국에 문제제기를 했느냐는 질문에 "회의 내용을 보고받지 못했으나 하는 것으로 안다"며 "범정부적으로 관계부처 대책회의와 안보적인 측면에서의 국가안전보장회의도 하고 있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