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美싱크탱크 "트럼프 취임 후 한국·대만서 미국 평판↓"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브루킹스연구소 양국 유권자 조사 결과

"두 나라 국민, 트럼프 집권 후 '더 위험해졌다'고 느껴"

연합뉴스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한 뒤 한국과 대만에서 미국에 대한 인식이 악화됐다는 미국 싱크탱크의 조사결과가 나왔다.
 
브루킹스연구소의 전문가들은 한국과 대만의 유권자를 대상으로 지난해 7월과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인 올해 3·4월에 진행한 여론조사 결과를 지난 25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이 결과에 따르면, 2025년 3월 조사 당시 '미국을 신뢰할 수 있는 동맹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한국 응답자의 41.9%가 '그렇다'고 답변했다. 이는 2024년 7월 조사 때 48.3%보다 6.4%p 감소한 수치다.
 
대만에서는 미국이 신뢰 가능한 동맹이라는 응답이 2024년 7월 33.6%에서 2025년 4월 23.1%로 줄었다.
 
남북한 사이 전쟁이 발발할 경우, 미국이 도와줄 가능성에 대해서는 2024년 7월 조사에서 한국 응답자의 69.6%가 긍정적 반응을 보였으나, 2025년 3월 조사에서는 60.2%로 하락했다.
 
대만 조사에서도 대만과 중국이 전쟁을 하게 되면 미국이 지원해줄 것이라는 응답이 같은 기간 45.5%에서 37.5%로 떨어졌다.
 
미국에 대한 전반적 인식도 '트럼프 2기' 전보다 나빠졌다.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전후를 비교하면, 미국에 대한 인상이 부정적이라고 밝힌 응답자가 한국에서는 6.9%에서 16.2%로, 대만에서는 24.2%에서 40.5%로 각각 늘었다.
 
트럼프 대통령 집권 후 전세계 민주주의가 더 강해졌다고 생각하는지를 물은 질문에는 한국 응답자의 8.6%만 동의했고, 66.8%가 반대 의사를 밝혔다. 대만에서는 8.3%가 동의했고 64.2%는 동의하지 않았다.
 
한국 응답자의 65.2%, 대만 응답자의 65.1%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오히려 자국이 더 위험해졌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를 진행한 저자들은 한국과 대만이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고자 미국에 외교·군사·경제적으로 의존해 왔으나, 트럼프 행정부에서 미국과의 관계가 불확실하고 예측이 어려워졌다고 진단했다.
 
또 이들 국가에서의 미국 평판 하락은 중국이나 북한과 실제 분쟁이 발생할 경우, 대만과 한국이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영향을 크게 미칠 수 있고 향후 두 나라의 국민이 자국 정부의 대미 정책에 보내는 지지에도 파장을 미칠 수 있어 그 의미가 크다고 분석했다.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