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유용원 의원실 제공전시 국가 지휘부가 상주하는 육군 수도방위사령부 내 B-1 벙커에서 방사성 물질인 라돈 수치가 실내 공기질 권고 기준치를 장기간 반복 초과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은 17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현역 군인의 제보를 바탕으로 국방부에 문의한 결과 관련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유 의원에 따르면 군이 2020년 B-1 벙커 내 임의의 지역 2곳을 측정한 평균 라돈 수치는 기준치 148베크렐(Bq/㎥)을 훨씬 넘는 약 450베크렐Bq/㎥이었고 최고치는 711Bq/㎥에 달하기도 했다.
2022년에는 평균치가 357Bq/㎥을 기록했고 지난해에는 측정 위치를 38곳으로 확대한 결과 평균치가 157.8Bq/㎥로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기준치보다 조금 높았다.
유 의원은 "B-1 벙커는 암반과 지하수에서 고농도 라돈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구조이고, 내부는 협소하고 외부 공기 유입과 자연 환기가 어렵다"며 "이러한 구조적 한계로 인해 일부 지역의 라돈 수치는 반복적으로 권고 기준을 초과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국방부는 지난 10여년 간 100억 이상의 예산을 투입해 환경 개선에 나섰지만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라돈은 무색무취한 자연 방사성 기체로 1급 발암물질이며 세계보건기구(WHO)는 흡연 다음으로 폐암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B-1 벙커 근무자들이 원인 모를 두통과 피로를 호소하는 사례가 이어져왔고 지난해 11월에는 한 간부의 배우자가 국민신문고에 민원을 제기하는 일도 있었다.
국방부는 그러나 전략사령부 요원 40여명이 지난해 10월 창설 이후 벙커에 상주해왔지만 라돈 수치 초과 사실은 공식적으로 알리지 않았다고 유 의원은 주장했다.
그는 또 한미연합연습 때 미군도 B-1 벙커에서 함께 훈련해온 점을 언급하며 주한미군 측에 라돈 관련 사실을 통보조차 하지 않은 것은 한미동맹 정신을 훼손할 수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유 의원은 라돈 수치 경감을 위한 대책 수립과 벙커 근무자에 대한 건강검진‧치료, 책임 소재 규명과 재발 방지책 마련 등을 국방부에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