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한국 지난해 수출 가운데 중간재 비중만 67%, 교역국가도 특정국에 쏠려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핵심요약

한국경영자총협회 발표한 '우리나라 중간재 수출입 집중도 국제 비교와 시사점' 지난해 한국 수출·수입에서 중간재 비중 각각 67.6%, 50.5%
교역 특정국 쏠림 현상도 심해…중국, 미국 쏠림 현상

연합뉴스연합뉴스
지난해 한국의 수출 가운데 중간재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67%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의 무역에서 중간재 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이 주요 7개국(G7)보다 지나치게 높은데다 특정 국가에 치우쳐 글로벌 무역 분쟁에 더 취약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발표한 '우리나라 중간재 수출입 집중도 국제 비교와 시사점'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수출·수입에서 중간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67.6%, 50.5%로 나타났다.
 
수출과 수입 비중 모두 영국(수출 57.1%·수입 45.7%), 미국(53.6%·41.6%), 일본(53.5%·41.6%), 독일(48.5%·48.9%) 등 G7 회원국을 모두 상회하는 수치다.
 
경총은 이같이 과도한 중간재 비중이 메모리, 프로세서 컨트롤러, 석유제품 등 소재, 부품을 수입해 중간재로 가공해 수출하는 산업에 한국이 특화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가뜩이나 중간재 교역의 비중이 높은데다 교역 국가마저 특정국에 편중되는 현상도 심했다.
 
중간재 수출, 수입 국가집중도가 각각 1007포인트, 1126포인트로 모두 G7 국가 중 캐나다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국가집중도란 중간재 교역이 일부 국가에 얼마나 집중돼있는지 보여주는 지표로 수치가 높을수록 소수 국가에 편중돼있음을 뜻한다.
 
한국의 주요 수출국은 중국(23.7%), 미국(14.2%), 베트남(8.9%), 홍콩(6.8%) 등이었고 수입국은 중국(27.7%), 일본(10.1%), 미국(9.7%), 대만(8.6%) 순이었다. 다만 수출 국가집중도는 2019년 1164포인트에 비해 상당히 낮아졌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