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전기차 화재 급증…절반은 '고전압 배터리' 발화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올해 전기차 화재 지난달까지 34건
2020년부터 누적 화재는 총 94건
화재 54.3% 고전압 배터리서 발생

쉽게 꺼지지 않는 전기자동차 화재. 연합뉴스 쉽게 꺼지지 않는 전기자동차 화재. 연합뉴스 
전기차 보급이 확대되면서 화재 사고 역시 짧은 기간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이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조오섭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전기차 화재는 34건 발생했다.

전기차 화재는 2020년 12건, 2021년 15건이었다가 지난해 33건으로 급증했는데, 올해는 8월까지 발생한 건수만 이미 지난해 수준을 넘어섰다.

국내 신규 등록 전기차는 2020년 4만6623대에서 2021년 10만355대로 늘었고, 지난해에는 16만4324대로 더 증가했다.

전기차 화재는 2020년부터 지난달까지 누적 94건 발생했다. 그중 16건(17%)은 블랙박스 보조배터리, 휴대용 충전기 등 차량에 장착된 액세서리 등에서 불이 나 전기차 자체의 안전 문제라고는 보기 어려운 '외부 요인'이 원인이었다.

나머지 78건 중에서는 51건(54.3%)의 화재가 '고전압 배터리'에서 발생했다. 전체 전기차 화재 중 절반 이상은 배터리가 원인인 셈이다.

다른 27건(28%)은 차량 기타 부품(커넥터·운전석 열선 등)에서 불이 난 경우였다. 제작사별로 보면 현대자동차(코나 EV·포터2 EV·아이오닉5 등)가 40건(42.6%), 기아(봉고3 EV·쏘울 EV 등)가 14건(14.9%)이었다.

수입차 중에서는 폭스바겐그룹 아우디 E-트론에서 7건(7.4%), 테슬라 모델 3·X·Y 등에서 6건(6.4%) 의 화재가 있었다.

최근 3년여간 전기차 화재의 절반 이상이 고전압 배터리에서 발생했지만,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검사가 가능한 검사소는 전국 10곳 가운데 3곳뿐이라고 조오섭 의원은 지적했다.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 검사 장비를 보유한 안전검사소는 지난달 기준 전국 1972곳 가운데 교통안전공단이 운영하는 검사소 59곳과 출장 검사소 30곳, 민간 검사소 519곳 등 608곳(30.8%) 뿐이다.

조 의원은 "전기차 정비 인프라와 관련 제도가 전기차 보급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어 시급한 보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1

1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