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방풍텐트, 온열의자 4800개 설치…서울시 한파종합대책 발표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방풍텐트. 서울시 제공 방풍텐트. 서울시 제공 
한파에 대비해 서울시 횡단보도와 버스정류장 등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 방풍텐트와 온열의자 등 한파 저감시설이 추가로 설치된다. 노숙인, 쪽방촌 주민 등 한파 취약계층에 대한 맞춤형 지원도 추진된다.

서울시는 6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한파 종합대책'을 내년 3월 15일까지 넉 달 동안 가동한다고 밝혔다.

우선 한파 취약계층에 대해서는 노숙인과 쪽방촌 주민, 장애인 거주시설, 취약계층 어르신 등을 대상을 세분화하고, 노숙인 밀집지역에는 53개조 124명으로 구성된 거리상담반이 하루 최대 10차례 순찰과 상담에 나선다.

하루 2133명분의 무료급식과 하루 최대 675명이 이용가능한 노숙인 응급잠자리도 제공한다.

쪽방촌 주민에게는 연탄이나 전기장판 등 방한용품과 식료품, 생필품 등 1만7576점을 지원하고, 장애인 거주시설 41곳에도 난방비와 김장비 2억8천만원을 지원했다.

취약계층 어르신 3만6298명을 대상으로 안부를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한파 특보가 내려진 상황에서 연락이 두절되면 직접 방문해 안부를 확인할 예정이다.

자치구별로 한파쉼터 1270곳을 지정해 운영하고, 저소득 취약계층 24만8천가구에는 가구당 5만원씩 월동대책비를 지원 중이다.

한파쉼터. 서울시 제공한파쉼터. 서울시 제공
아울러 전기나 가스 등 난방에너지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에너지 바우처 지원대상을 생계·의료 수급자에서 주거·교육 수급자까지 확대했고, 지원금도 1인 가구기준 24만8200원으로 지난해보다 2배 가량 늘렸다.

한파에 시민을 보호하기 위해 횡단보도와 버스정류장 등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는 방풍텐트와 온열의자 등 한파저감시설 4839개소를 운영한다. 지난해보다 시설을 1598개소 더 늘려 시민체감도를 늘릴 계획이다.

수도계량기 동파에 대비해 '겨울철 수도계량기 동파대책 상황실'을 내년 3월 15일까지 운영하고, 동파에 취약한 30만3567곳에는 수도계량기함 보온덮개 배부, 보온재 설치 등을 추진했다.

이밖에도 한랭질환 응급실 감시체계를 운영해 의료기관 63곳과 함께 한랭질환자 발생현황을 매일 관리하고, 119순회 구급대를 구성해 한파 특보가 내려지면 취약계층 주거구역에 대한 순찰을 실시하기로 했다.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