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지난해 예대금리차(대출금리-예금금리)를 기반으로 역대 최대 이익을 낸 주요 시중은행 평균 연봉이 약 1억 2천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또한 최대 7억원대에 달하는 희망퇴직금(특별·법정퇴직금)을 지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주요 시중은행의 '2024년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NH농협은행의 지난해 직원 1인당 평균 연봉은 1억 1840만원으로 조사됐다. 전년도 1억 1628만원보다 212만원 늘어난 규모다.
은행별로 보면 △하나 1억 2061만원 △KB국민 1억 2천만원 △신한 1억 1900만원 △우리 1억 1400만원이다. 직전 연도와 비교하면 신한과 우리, 하나은행이 각 600만원, 200만원, 148만원 늘었다. 반면 KB국민은행은 100만원 줄었지만, 주식이나 복지 포인트 방식 등으로 보상을 늘리는 경우도 있어 실제 감소 여부는 단정할 수 없다.
퇴직자와 관련해 KB국민은행은 지난해 1월 19일 자로 퇴사한 674명의 희망퇴직자에게 총 2274억원의 비용을 지출했다.
1인당 평균 3억3700만원으로, 이 비용은 지급된 특별퇴직금(18~31개월 치 기본급여)에 해당한다.
18~35개월 치 특별퇴직금을 지급한 2023년(3억 4800만원)과 비교해 평균 1100만원 줄었다.
신한은행은 작년 1월 5일 자로 희망퇴직한 234명에게 특별퇴직금(7~31개월 치 기본급여) 736억원을 지급해 1인당 평균 3억 1432만원꼴로, 2023년(3억 746만원)보다 2.2% 늘었다.
하나은행이 지난해 희망퇴직자 325명에 지출한 비용은 모두 1203억원이다. 1인당 특별퇴직금(18~31개월 치 기본급여)으로 3억 711만원을 받았다. 18~36개월 치가 지급된 전년(4억 915만원)보다는 3천만원 이상 줄었다.
우리은행은 작년도 희망퇴직 일정이 올해 1월로 늦춰 실행되며 관련 비용도 오는 5월께 1분기 실적을 통해 공개될 예정이다. NH농협은행도 작년 4분기 실적에는 반영됐지만, 오는 4월 경영 공시가 이뤄질 예정이다.
다만 이들 희망퇴직자가 실제 받는 퇴직금은 이보다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은행별 사업보고서에 반영된 비용은 특별퇴직금으로 법정퇴직금도 함께 지급되기 때문이다. 법정퇴직금은 통상 퇴직 직전 3개월 월평균 급여(상여·수당 등 포함)에 근속연수를 곱해 정해진다.
퇴직 당시 직급과 근속연수에 따라 일반적으로 2억~4억원대의 법정퇴직금을 받을 것이라는 금융업계의 설명이다. 이 경우 특별퇴직금과 법정퇴직금을 합하면 희망퇴직자들은 보통 5억원대 중반~7억원대를 받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