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진환 기자국제통화기금(IMF)이 최근 무역 환경의 긴장 상황을 반영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1.0%로 1.0%p나 대폭 낮춰잡았다.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도 2.8%로 뚝 떨어뜨렸지만, 지난 1월 전망치와 비교할 수 있는 선진국 11개국 중에서는 한국만 유일하게 1.0%p 이상 하향조정돼 하락폭이 가장 컸다.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IMF는 22일(미국 현지시각) '4월 세계경제전망'(World Economic Outlook)을 발표하며 이처럼 전망했다.
IMF는 이번 전망에서 기존의 단일 전망(baseline) 대신 전망 기준일에 따른 '기준 전망(reference forecast)'과 '보완 전망(alternatives)'을 함께 제시하는 새로운 방식을 사용했다.
이에 따라 기준전망에는 이번 전망 보고서를 작성한 지난 4일 기준 반영 가능한 정보를 기반으로 국가별 성장률 등을 전망하고, 보완전망에서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정부가 상호관세를 부과한 지난 2일과, 이를 90일 동안 유예했지만 미국과 중국이 서로 보복 조치에 나섰던 9일을 기준으로 세계 성장률 범위를 추가로 제시했다.
우선 IMF는 기준 전망에서 무역긴장 등 글로벌 불확실성을 반영하여 대부분 국가의 성장률 전망을 하향 조정하면서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을 지난 1월 전망 대비 0.5%p 낮춘 2.8%로 전망하고, 내년 전망치도 0.3%p 떨어뜨린 3.0%로 내다봤다.
보완 전망에서는 미국이 상호관세를 발표한 지난 2일 기준, 미국의 2~3월 무역정책, 높은 유가 전망으로 중국, 캐나다, 멕시코의 성장률이 대폭 둔화된 점을 감안해 올해와 내년 성장률 모두 1월 대비 0.1%p 낮춘 3.2%로 예상했다.
또 상호관세가 90일 유예됐으나 미-중 간 보복 대응이 이뤄진 9일 이후 기준으로는 올해 상호관세 90일 유예의 효과가 미국과 중국의 성장률 하락으로 상쇄돼 2.8% 성장하고, 내년에도 미국과 중국의 손실이 다른 국가의 이득을 넘어섬에 따라 1월 전망치보다 0.4%p 낮은 2.9% 성장에 그칠 것이라고 봤다.
국가·지역별 성장률은 기준 전망만 제시한 가운데, 한국의 성장률은 구체적 평가 없이 올해 1.0%, 내년 1.4%로 전망했다. 이는 1월 전망치와 비교하면 각각 1.0%p, 0.7%p씩 하락한 결과다.
한국이 속한 선진국 그룹 41개국 가운데, 지난 1월과 이번 달 모두 전망치가 발표돼 비교 가능한 11개국에서는 올해 성장률 전망치가 1.0%p 이상 하락한 나라가 한국 뿐이다.
2025년 4월 IMF 세계경제전망(단위 : %, %p). 기획재정부 제공이런 가운데 선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은 1월 전망 대비 0.5%p 하향된 1.4%로, 내년은 0.3%p 낮춘 1.5%로 예측했다.
국가별로는 미국(1.8%)은 정책 불확실성, 무역 긴장, 소비 회복 지연 등으로 올해 성장률 전망치가 1월보다 0.9%p 대폭 하락조정됐다.
또 영국(1.1%, -0.5%p), 독일(0.0%, -0.3%p), 프랑스(0.6%, -0.2%p) 등 대부분의 유럽 국가와 일본(0.6%, -0.5%p)도 줄줄이 하향 조정됐다.
신흥개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은 1월보다 0.5%p 하향한 3.7%로, 내년 성장률은 0.4%p 낮춘 3.9%로 전망됐다.
중국은 예상보다 견조한 지난해 4분기 실적 및 재정확대에도 불구하고, 최근 관세 조치의 부정적 영향으로 올해(4.0%, -0.6%p)와 내년(4.0%, -0.5%p) 성장 전망 모두 하향됐다.
미국과 국경을 마주하며 통상 압박의 충격을 크게 입은 멕시코는 지난해 연말 이후 부진한 경제활동과 더불어 미국의 관세 부과, 지정학적 긴장, 긴축적 금융환경으로 올해 성장률이 1.7%나 하향 조정돼 -0.3%의 역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우려된다.
IMF는 세계경제의 리스크가 하방 요인에 집중되어 있다며 무역갈등 등 정책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소비·투자 위축, 고금리 및 높은 부채수준으로 인한 재정·통화 정책 여력 부족, 주가 및 시장가격 재조정 가능성 등 금융·외환시장의 높은 변동성 등을 위험 요인으로 제시했다.
다만 미국 관세 조치 인하와 상호 협상 등이 진전될 경우 세계경제의 상방 조정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고조된 불확실성과 성장 둔화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방향으로 예측가능한 무역환경 조성을 위해 무분별한 산업 보조금을 지양하고, 지역·다자간 무역협정 확대를 통한 무역 분절화 방지 노력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또 금융시장 안정과 기대 인플레이션간의 균형을 유지하는 신중한 통화정책과 건전한 재정운용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자본 변동성 확대에 대응하여 국가별 금융·외환시장 성숙도에 맞는 적절한 개입 및 건전성 조치를 시행할 것을 권고했다.
그 밖에 중기 성장잠재력 회복을 위한 여성·고령층 노동 참여 제고와 AI·디지털 기술 투자확대, 규제 정비 등의 노력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