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무부 사칭 위조 공문서. 서울소년원, 부산구치소 제공전국 곳곳에서 교정당국을 사칭해 물품 납품을 미끼로 영세업체의 돈을 뜯어내는 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는 가운데 최근에는 범죄예방정책국으로 범행 대상이 확산되고 있다. 이들 일당은 법무부 공문을 위조하는 등 치밀한 수법을 쓰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 된다.
12일 CBS노컷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최근 A업체는 서울소년원 소속 직원을 사칭한 인물로부터 스포츠 용품 납품을 의뢰해달라는 전화를 받았다.
이들 일당은 서울소년원 소속 직원의 성명이 기재된 법무부 공문을 A업체에게 전달했다. 해당 공문에는 문서번호와 함께 법무부 직인이 포함돼 있어 실제 공문처럼 보이도록 꾸며졌다.
이들 일당은 카드 결제 확인을 명목으로 제3의 업체를 소개하는 수법을 쓰고 있다. 피해 업체가 소개받은 제3자에게 연락을 취하면 물품 할인을 언급하며 현금 결제를 유도하고, 입금이 이뤄지면 연락을 끊는 방식이다.
A업체 역시 서울소년원에 확인 전화를 걸고 나서야 해당 공문서가 모두 위조됐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서울소년원 측은 공문서 위조 및 사기 혐의로 경찰에 고발한 상태다.
서울소년원 관계자는 CBS노컷뉴스에 "최근 접수된 위조된 공문서를 보면 메일 하단에 공무원 메일을 기입하는 등 범행 수법이 치밀해지고 있다"며 "실제 직원들의 이름과 직함까지 사용되고 명함도 있어 업체들의 피해가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스마트이미지 제공이 같은 수법의 사칭 사기는 전국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다. 최근에는 부산구치소 교도관을 사칭하며 산불 진화에 필요한 장비 납품을 요청했고, 경주 구치소 교도관을 사칭해 교도소에서 사용할 장판과 교도관들의 보호 조끼 구매를 요청한 사례도 있었다.
올해 3월부터 전국적으로 접수된 사칭 신고는 220여 건에 달한다. 실제로 금전 피해로 이어진 업체 사례도 있어 피해 규모는 계속 늘어나고 있다.
법무부 관계자는 CBS노컷뉴스와의 통화에서 "오늘도 4건의 사칭 피해 신고가 접수됐다"며 "피해 업체가 많아 계속해서 기관 별로 법적 대응을 취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교정기관은 물품 대금을 선입금 받거나 제3자에게 대리 결제를 요청하는 일이 없다"며 "반드시 해당 기관에 문의해 확인해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