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탄핵 이후 대통령이 없는 권한대행 체제가 5개월여 이어지고 있다. 외교안보 컨트롤타워가 사라진 상황에서 일견 큰 혼란 없이 지나가는 듯 보이지만, 향후 휘몰아칠 외교안보 무대에서 차기 정부의 부담은 무거워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새로운 대통령이 당선되면 숨돌릴 틈 없이 '외교전쟁'에 참전해야 한다. 목전에 놓인 것은 다음달 15~16일 캐나다 앨버타에서 열리는 G7 정상회의다. 우리나라가 회원국은 아니지만 주최국으로부터 초대를 받아 참석해 온 회의다.
외교소식통에 따르면 주최국인 캐나다는 우리나라 차기 정부를 옵저버 자격으로 초청하는 방안을 긍정적으로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이번 회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촉발한 관세전쟁의 한복판이 될 예정이다. 일본과 영국, 독일 등 EU 국가들도 징벌적 관세라는 미국의 도전을 해결하기 위해 긴장감을 높여가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나라 뿐 아니라 전세계 주요국이 각자의 외교전쟁을 펼칠 무대가 될 예정이다.
특히 이번 G7정상회의의 새 대통령이 참석하는 첫 국제무대인만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만남이 성사될 가능성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통보한 90일동안의 상호관세 유예는 7월 9일에 종료된다.
G7 정상회의가 끝나면 이어 24~26일에는 네덜란드에서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가 열린다. 전임 대통령은3년 연속 나토 회의에 참석해왔다.
다음달 22일에는 일본과의 국교정상화 60주년을 맞는다. 양국의 사정을 감안할 때 이 기회로 정상회담이 열릴 가능성은 요원한 것으로 보이지만 새 정부를 맞은만큼 한일관계를 환기하는 메시지가 나올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다.
한 외교부 관계자는 "취임 초 미국과 중국, 일본, 러시아 등 강대국들과 양자 정상회담을 갖고 어떻게 주요 이슈들을 논의해 나갈지 등은 매우 중요하다. 산적한 6~7월의 일정들은 새 정부의 대외 전략과 비전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시험대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탄핵 정국과 후보 선정 과정을 거치며 국내 정세는 혼란했고 그 과정에서 주요한 외교 쟁점에 관련한 구체적인 입장 표명이나 구체적인 방법 제시는 거의 없었다. 이제 막 선거운동을 시작한 후보들이 대선을 3주 앞둔 시점에서 얼마나 준비할 수 있을지 우려된다.
지난 12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트럼프 2기를 맞아 국제통상환경에 빠르게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재명 후보는 '세계 질서 변화에 실용적으로 대처하는 외교·안보 강국'을 내세웠다. G7·G20 등을 통한 글로벌 현안에 적극 참여하는 한편 통상·공급망·방산·인프라(시설) 등 분야에서의 유럽연합(EU)과의 실질 협력 강화 등도 약속했다.
김문수 후보는 취임 즉시 한미 정상회담을 개최하고 관세 패키지 협상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다자외교나 중국, 일본, 러시아 등과의 관계는 따로 언급하지 않았다.
한 외교소식통은 "인수위도 없는 새 정부의 외교안보 시계가 당선 직후인 6월 초부터 바쁘게 돌아간다는 점은 우려된다. 빠르게 주요 쟁점에 대한 세부 입장을 세우고 늦었지만 철저한 계획을 세워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