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K도 디비졌다…'재명이가 남이가'에 '보수 텃밭' 민심 '흔들'[오목조목]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의 '보수 텃밭' 영남권 공략에 영남 민심도 흔들리고 있다. 특히 '보수' 후보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와의 격차가 좁혀지고 있다는 점이 눈에 띈다.
16일 한국갤럽에 따르면 지난 13~15일 전국 성인 남녀 100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5월 3주 조사(95% 신뢰 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무선 전화면접, 응답률은 16.4%)결과 민주당 험지로 불리는 부산·울산·경남에서 이재명 후보와 김문수 후보는 각각 41%, 39%로 집계되며 오히려 이 후보가 김 후보를 넘어섰다.
매일신문 의뢰로 한길리서치가 12~13일 대구·경북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남녀 1101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도 두 후보에 대한 20~40대 지지율은 엇비슷하게 나타났다.
각 후보의 대구·경북 지역 연령별 지지율을 살펴보면 이재명 후보는 △20대 34.9% △30대 36.5% △40대 48.4%로 나타났고, 김문수 후보는 △20대 38.7% △30대 40.4% △40대 38.4%로 조사됐다. 40대에서는 이 후보가 김 후보보다 높은 지지를 얻었다.
앞서 뉴스1이 한국갤럽에 의뢰해 지난 12~13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서는 대구·경북에서 김문수 후보는 45%,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29%,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13%의 지지를 받았다.
이러한 조사 결과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보수 진영의 김문수 후보가 보수 텃밭에서 과반의 지지를 얻지 못했다는 점이다.
지난 대선 당시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는 대구에서 75.1%, 경북에서 72.8%를 득표했다. 반면 이재명 후보는 대구와 경북에서 각각 21.6%, 23.8%의 지지를 얻으며 30%조차 넘지 못했다.
최근 여론조사는 대선에서 압도적인 승리를 노리는 이재명 후보의 영남권 공략이 어느 정도 성과를 거뒀음을 보여준다.
이 후보는 공식 선거운동 첫날인 지난 12일 서울 광화문 청계광장에서 출범식을 가진 뒤 '험지'로 불리는 영남권 유세에 공을 들였다.
13일 경북 구미와 대구, 경북 포항, 울산 등 TK 등을 시작으로 14일에는 부산과 경남 창원·통영에서 유세를 펼쳤다. 특히 이 후보는 구미에서 보수의 상징인 박정희 전 대통령을 언급하며 적극적으로 영남 민심 사로잡기에 나섰다.
이재명 후보는 '보수 심장' 대구에서 젊음의 상징인 동성로를 찾아 2030 표심 잡기에 나서기도 했다. 당시 이 후보를 보기 위한 지지자들이 대구백화점 앞 광장을 가득 메우며 달라진 민심을 증명했다.
이 같은 여론조사 결과에 대해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CBS노컷뉴스와의 통화에서 "이번 국민의힘 대선 후보 단일화 과정에서 국민의힘에 대한 실망과 비판이 여론조사에서 드러난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영남권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의 시대는 끝났다고 보는 것이다. 대구·경북과 경남 민심만 보고 윤 전 대통령이 상식 밖의 언행을 하고, 정치 메시지를 내고, 탈당하지 않고 버티는데 그와의 연을 끊지 못하니 (김문수 후보에 대한) 지지율이 빠지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 평론가는 "여기에 압도적으로 윤 전 대통령을 뽑아줬지만, 형편없는 모습을 보여주자 잘못 판단했다고 생각하는 것"이라며 "이러한 배신감과 이재명 후보에 대한 미안함에서 이제는 우리 동네 사람인 이 후보를 찍어준다고 판단하게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에 인용된 한길리서치 여론조사(매일신문 의뢰)는 휴대전화(가상번호) 전화 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이뤄졌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 응답률은 18.9%고, 한국갤럽 여론조사(뉴스1 의뢰)는 무선 ARS(휴대전화 가상번호) 전화 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이뤄졌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0%p, 응답률은 8.0%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