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진환 기자지방 거주 환자가 서울 상급종합병원을 이용하면서 발생하는 비용이 연간 4조 6천억 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하 보사연)은 15일 이 같은 내용의 '지역 환자 유출로 인한 비용과 지역 국립대학병원에 대한 국민 인식' 보고서를 공개했다.
보사연은 서울 상급 종합병원을 이용한 환자 가운데 주소지가 서울이 아닌 환자를 대상으로 비용을 추산했다. 환자가 서울 상급종합병원에서 진료받을 때 발생할 총비용에서 거주지에서 진료받을 때 발생할 총비용을 뺀 값을 비용으로 계산했다.
그 결과 지방 환자가 서울로 유출됐을 때 발생하는 교통비, 숙박비만 4121억 원이었다. 여기에 진료비 차이까지 더하면 1조 7537억 원이었다. 각종 환자와 가족의 경제활동으로 인한 기회 비용까지 반영했을 경우에는 지방 환자 유출로 인한 비용이 4조 6270억 원이었다.
서울에서 진료받을 때 발생하는 총비용은 진료비(건강보험 급여와 본인 부담금), 숙박비, 간병비, 입원과 외래 진료에 따른 기회 비용이다. 지역 총비용은 진료비, 교통비, 간병비, 기회 비용이다. 진료비와 입원일, 외래 횟수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기반했다. 숙박비는 한국소비자원 자료를 적용했다.
한편 보사연이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에 사는 만 19~69세 남녀 1050명을 한국리서치를 통해 조사한 결과 81.2%가 '우리나라 수도권과 지역 의료 격차가 심각하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보사연은 "해당 보고서는 외래 보호자 동행 비율·입원 간병인 고용 비율을 제한적으로 시나리오화했다"고 한계와 후속 연구 필요성을 거론하면서도 "국립대병원 역량 강화를 통해 개인의 의료선택권을 보장하면서도 비효율로 인한 사회 전반의 손실을 줄여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