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이 15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인선 발표를 하고 있다. 왼쪽은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 연합뉴스'실용'을 강조하던 이재명 정부의 AI 정책 수석에 현장 최전선 인사가 깜짝 등용됐다. 이재명 대통령이 AI미래기획수석에 하정우 네이버 AI혁신센터장을 임명하면서 AI 정책에 본격적으로 시동이 걸렸다는 평가가 나온다. 현장 인사 발탁에 업계에서도 이번 정부에서 실용적인 AI 정책이 속도감 있게 나올 수 있을지 기대하는 분위기다.
77년생 하정우 수석 임명…'전 국민 AI' 추진
새 정부에서 신설한 'AI미래기획수석'에 네이버 하정우 센터장이 임명됐다. 1977년생인 하 수석은 올해 48세로 현재까지 정부 초대 참모 중 최연소 인사다. 하 수석은 네이버 AI 혁신센터장을 역임하며, 네이버 자체 AI 모델인 '하이퍼클로바X' 개발과 상용화 과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등 현장 최전선에 있던 인물이다.
하 수석은 이재명 대통령이 구상한 '전 국민 AI' 정책을 적극 추진할 수 있는 민간 전문가로서 적격이라는 평가다.
네이버에 몸 담았을 시절부터 '인공지능 전도사'로 불린 하 수석은 AI 주권인 '소버린 AI'를 강조해 왔다. 하 수석은 전 국민 모두가 AI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며, 'AI 리터러시' 도입을 주장하는 등 현 정부 정책의 결과 맞닿아 있는 목소리를 냈다.
정부 정책과 업계 현실의 사이에서 줄다리기를 잘할 수 있는 인물이라는 평도 나온다.
하 수석은 사단법인 '바른과학기술사회실현을 위한 국민연합' 공동대표로서 지난해부터 기업인으로서의 역할보다도 정책 자문가로서 국가 AI 정책과 관련한 제언을 꾸준히 이어왔다.
하 수석은 지난해 8월 27일 CBS노컷뉴스와의 인터뷰에서도 정부의 AI 정책 수립의 중요성을 강조한바 있다.
(참고기사: "AI, 거짓말 왜 하죠?" 인공지능 일타 하정우 답은[AI리더즈])그는 "얼마나 AI 역량과 경쟁력을 갖고 있느냐가 과거에 어떤 군사력 이상으로 더 중요한 국가의 경쟁력과 능력이 된다"며
"(전문가가) 목소리를 내지 않고 전략이 비효율적으로 만들어지면, 결국 우리 국가 전체의 경쟁력이 낮아지고 그건 기업의 경쟁력으로도 자연스럽게 이어진다"고 말했다. "AI 산업 진흥 활발해질 것" 업계도 기대감↑
연합뉴스업계에서도 하 수석 발탁에 실용적인 AI 정책을 기대하는 분위기다. 지난 정권에서는 정부의 AI 정책이 업계의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줄곧 제기됐다. 업계 현실을 잘 아는 하 수석이 소통 창구로서 기능하며, 신속하게 정책을 이끌어줄 거라는 기대감이 모이고 있다.
특히 속도전이 중요한 AI 인프라 마련에 속도를 낼 수 있을지 이목이 쏠린다. 정부는 올해 GPU 확보를 위한 국가AI컴퓨팅 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여전히 제자리걸음 중이다. 컴퓨팅센터 설립에서 정부의 지분이 더 높지만, 정작 사업 추진 결과에 대한 책임이 기업에 떠넘겨지는 등 참여 조건에 대한 우려로 지난주 끝내 사업이 유찰됐다.
국내 IT(정보통신) 업계 관계자는 "기업 입장에서는 GPU 확보 필요성에 공감하지만 (국가AI컴퓨팅 사업이) 기업 입장에서 희생해야 할 부분이 많아 망설여졌던 것은 사실"이라며 "그런 부분들이 해소되면 논의될 여지가 있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면서 "(하 수석이) 지속적으로 AI 인프라를 갖추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해 왔기 때문에 개발자들 사이에서도 기대감이 나오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수석 임명으로 국가 AI 정책이 중심을 잡을 수 있을 거라는 기대감도 나온다. 지난해 AI 정책 전반을 추진하는 국가AI위원회가 추진됐지만, 비상계엄 선포 이후 수장인 대통령 부재로 중요 전략 추진과 방향 설정에 힘이 빠진 채로 첫 발을 내디뎠다.
대통령비서실 직속의 인사로 젊은 현장 전문가를 발탁하며 AI 사업 추진이 다시 동력을 받게 됐다는 분석이다. 국내 통신업계 한 관계자는 "기존 국가 단위의 AI 사업은 물론 개별 기업들에 대한 AI 지원책 등 진전이 거의 없었다"면서 "정치적 불확실성이 걷히고 신설 AI 미래기획수석에 민간 기업의 AI 전문가가 보임하면서 AI 사업 진흥이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중단됐던 업계 의견 청취가 재개되면서 시행령 마련을 앞둔 'AI 기본법'도 규제보단 진흥에 힘줄 거라는 기대도 나온다. 다른 IT 업계 관계자는 "현재 나온 법안이 규제에 가깝다는 게 업계의 공통된 의견"이라면서 "시행령이나 법 개정을 통해 완화하는 움직임으로 가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