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폭탄을 실은 드론이 강남역 한복판에 뜬다면?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전쟁터 휘젓는 '드론 시대'…폭격기도 쑥대밭
4700km 밖에서 조종, 안티드론도 무소용
드론테러 위험 크지만…인프라 구축은 아직
조류와 구분 어렵고, 오인 대응시 민간피해 ↑
전문가 "대규모 예산 투입해 인프라 늘려야"

독도함에서 이륙 준비하는 무인기 '모하비'. 연합뉴스독도함에서 이륙 준비하는 무인기 '모하비'. 연합뉴스
오후 2시 강남역 10번 출구 1km 상공. '위잉' 소리를 내는 드론에 성인 남성 팔뚝 만한 폭탄이 부착돼 있다. 제자리 비행을 하던 드론이 폭탄을 떨어뜨리자 몇 초 뒤 강남역 인근이 쑥대밭이 된다.

영화같은 일처럼 보이지만, 지금 당장에라도 일어날 수 있는 일이다. 이미 전세계 곳곳에서는 드론을 이용한 전쟁과 테러가 진행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도 드론 위협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진단한다.


4700km 밖에서 드론 조종…폭격기 수십대 쑥대밭


최근 전쟁터에서는 드론을 활용한 군사작전이 주목받고 있다. 이달 초 우크라이나는 개조한 컨테이너에 일인칭 시점 드론(FPV·First Person View)을 실어 육로를 통해 러시아로 들여보냈다. 컨테이너가 러시아 공군기지(5곳) 인근에 도착하자, 우크라이나군은 컨테이너 지붕을 열고 드론을 작동한 뒤 러시아 전략폭격기 수십대를 파괴했다.

적진을 뚫은 '트로이 목마' 같은 전략이 주목받았지만, 화제가 된 것은 또 있다. 드론을 조종한 거리다. 수도 키이우에 자리 잡은 우크라이나군은 최대 4700km 떨어진 러시아 공군기지에 있는 드론도 조종해 공격한 것으로 파악됐다.

드론은 특정 주파수를 이용해 조종하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신호가 닿는 거리가 짧다. 반면 3g·4g 등 이동통신망에 사용되는 셀룰러 네트워크를 이용하면 수천km 밖에서도 조종이 가능하다. 우크라군 역시 이같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번 작전을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새냐 드론이냐"…탐지 어렵고, 민간 피해도 골치

이스라엘 텔아비브 상공에서 미사일과 드론이 격추되는 모습. 연합뉴스이스라엘 텔아비브 상공에서 미사일과 드론이 격추되는 모습. 연합뉴스
이런 드론 기술이 테러에 이용되면 예상되는 피해는 가늠하기 어렵다. 우리나라 역시 안전지대가 아니다. 다수 살상을 노리는 간첩이나, 국내를 혼란시킬 목적을 가진 이들이 드론을 이용해 북한, 중국뿐 아니라 수천km 떨어진 곳에서 강남역 상공에 드론을 띄우고 폭탄을 터트려 수백명을 살상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안티드론'을 아직 구축해 나가는 단계다. 드론 테러 등에 대항하는 개념인 안티드론은 크게 탐지와 대응 단계로 나뉜다. 확인되지 않은 비행물체가 탐지되면, 재밍건 등으로 조종자의 전파를 방해해 무력화(소프트킬)하거나 미사일·레이저를 발사 또는 드론을 날려 물리적으로 타격(하드킬)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일선에 보급된 인프라로는 탐지부터 쉽지 않다. 특히 인파가 몰리거나 민간 기업이 자리 잡은 도심에서는 소형 드론과 조류를 구분하는 것조차 쉽지 않다. 대테러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한 부처 관계자는 "최고급 장비로는 날아다니는 게 드론인지 새인지 구분할 수 있지만, 그런 장비가 실제 국내에서 몇 곳에나 설치됐겠나"라며 "예산 문제 때문에 보급이 쉽지 않은데다 아직까지 국내에선 드론 테러에 대한 경각심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인간의 눈으로 드론을 확인할 수 있는 거리는 약 300m 정도로 알려져 있는데, 이 거리에서 드론이 지상에 도착하는 시간은 3초에 불과하다. 아군인지 적군인지 혹은 촬영용 드론인지조차 제대로 확인되지 않은 상황에서 폭탄을 실은 드론이 지상으로 돌진한다면 손 한번 써보지 못하고 치명적인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업계에서는 안티 드론 과정에도 제약이 많다고 판단한다. 우크라군처럼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드론이 도심에서 비정상적인 비행을 할 경우, 우리 당국은 사전에 테러를 차단하기 위해 통신망을 차단하는 소프트킬을 진행할 수 있다. 문제는 이 여파로 주변을 지나는 시민들의 휴대전화부터 인근 기업의 인터넷망까지 모두 다운되며 피해를 입고, 사후에는 보상 문제로도 이어질 수 있다.

더욱이 최근 서방 전쟁터에서는 드론이 재밍건으로 주파수가 끊기는 경우, 사전에 입력된 목표물을 향해 곧장 돌진하게 프로그래밍 되는 일이 많아서 소프트킬이 역으로 무력화되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 대드론 산업협회 김형석 드론센터장은 "도심 한복판에서 드론을 소프트킬 할 경우 이동통신 신호나 전파 등을 방해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텐데 주변 시민들이나 기업 역시 모두 영향을 받는다"며 "만약 드론이 테러용이 아닌 방송사의 촬영용인 것으로 드러났고, 시민이나 기업들이 손해배상을 청구한다면 현행 체계상 대응할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전문가 "예산 투입해 인프라 구축해야"

KAI가 개발 중인 무인기 모형. 연합뉴스KAI가 개발 중인 무인기 모형. 연합뉴스
전문가들은 국가적인 예산을 투자해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대테러안보연구원 전경훈 연구원은 "이제 드론은 취미를 넘어서 전쟁터에서 주요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며 "테러나 살상용으로 이용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우리나라 역시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국가 안티드론 훈련장도 국내에는 경북 의성에 있는 한 곳뿐인데, 드론 실험을 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라며 "예산을 투자해 훈련장을 늘리고 인프라를 넓혀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 센터장은 "드론테러의 위험이 날로 커지고 있고 대응하는 방식도 인지는 하고 있지만 제도적으로는 아직 보완이 필요하다"며 "국내 기업들이 안티드론 시스템을 구축해나가고 있지만 예산이 부족해서 적절한 수준으로 보급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 같다"고 짚었다.

2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