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17일(현지시간) 캐나다 앨버타주 캐내내스키스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장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악수하며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G7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캐나다를 방문한 이재명 대통령은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첫 한일 정상회담을 가졌다.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총리는 17일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 관계 발전 방안 등을 집중 논의했다. 양 정상은 지난 9일 첫 통화에 이어 이번 한일 정상회담에서도 '미래지향적인 관계'를 언급하며 훈훈한 분위기를 이어나갔다.
'협력' '엄중한 국제정세'…미래지향적 한일관계 재강조
이재명 대통령이 17일(현지시간) 캐나다 앨버타주 캐내내스키스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장에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한일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이시바 총리를 만나 "(한일관계는) 마치 앞마당을 같이 쓰는 이웃집처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다"고 말했다. 특히 "작은 차이들이, 또 의견의 차이들이 있지만 그런 차이를 넘어서서 한국과 일본이 여러 면에서 서로 협력하고, 서로에게 도움 되는 관계로 발전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과거사 문제를 관리하며 한일관계를 더 우선시 하겠다는 '국익중심의 실용외교' 기조를 재확인한 것이다.
이 대통령은 "특히 국제통상환경이나 국제관계들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어서 가까운 관계에 있고, 또 보완적 관계에 있는 한국과 일본이 많은 부분에서 협력하면 서로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며 "이렇게 직접 얼굴을 뵙고 만나게 됐는데, 오늘을 계기로 한국과 일본이 미래지향적으로 조금 더 나은 관계로 발전하기를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이시바 총리도 화답했다. 이시바 총리는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을 언급하며 "이 대통령은 이번 국제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리셉션에는 못 가셨다고 들었지만, 정말로 마음이 따뜻해지는 그런 메시지를 주셨다고 보고를 받았다"고 말했다.
그는 한일이 처한 공통의 국제 정세를 언급했다. 이시바 총리는 "어제 그리고 오늘 G7 정상회의에서 논의가 되었지만 국제 정세는 정말 대단히 엄중해지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며 "우크라이나에서도 그렇고, 중동에서도 그렇고, 아시아에서도 그렇고, 이런 지역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이 모든 공통적인 요소, 다양한 요소들이 있다고 저는 인식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시바 총리는 "이 대통령과 저, 그리고 정부 간, 기업 간 뿐만 아니라 국민 간 교류도 60주년을 계기로 해서 더 많이 활성화되고, 양국 간 협력과 공조가 이 지역 그리고 세계를 위해 더 많은 도움이 되는 그런 관계가 되기를 저는 진심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양 정상은 앞서 지난 9일 첫 정상통화에서도 견고하고 성숙한 한일관계를 만들어 나가자는데 공감대를 이룬 바 있다.
李 대통령 첫 정상회담 상대는 日…역대 가장 이른 정상회담
이재명 대통령이 17일(현지시간) 캐나다 앨버타주 캐내내스키스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장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자리를 바꾸며 밝게 웃고 있다. 연합뉴스이번 회담은 이 대통령 취임 후 14일만(한국시간 기준)에 이뤄진 첫 정상회담이다. 역대 사례와 비교해도 새 정부 출범 후 매우 이른 시기에 성사된 한일 정상회담이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경우 취임 후 정식 한일 회담은 넉 달 후인 2022년 9월 뉴욕에서 이뤄졌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취임 후 두 달이 지난 2017년 7월 7일 독일에서 아베 신조 당시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경우 임기 초반 한일 갈등이 깊어지며 취임 1년이 지난 뒤인 2014년 3월에야 한미일 3국 정상회담에서 아베 신조 당시 일본 총리와 첫 대면을 했고, 양자 회담은 2015년 11월 성사됐다.
반면 노무현·이명박 전 대통령의 경우 취임식에 각각 고이즈미 준이치로, 후쿠다 야스오 일본 총리가 참석하면서 취임식 당일에 첫 한일 정상회담을 했다.
앞서 한미 정상회담과 한일 정상회담이 G7 정상회의 계기로 준비됐지만 한일 정상회담만 열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스라엘-이란 전쟁과 관련한 상황 급변으로 인해 G7 정상회의 일정을 단축해 정상 만찬 후에 귀국했다.
'셔틀외교' 재개 시동…복잡한 국제정세 속 협력 강화될 듯
최근 한일 사이 부는 훈풍은 북핵위협과 미중 경쟁이라는 국제정세,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일방주의 정책이 심화하고 있는 가운데 두 나라의 상황이 비슷하기 때문이다. 두 나라가 힘을 합쳐 도전 과제들을 풀어나가는 것이 서로에게 이득인 상황이다.
대통령실은 한일정상회담 직후 보도자료를 내고 양 정상이 셔틀외교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양 정상은 급변하는 국제정세 하에서 역내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고 국익을 극대화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심도있는 의견을 교환하고 유사한 입장에 있는 양국이 보다 긴밀히 협력을 모색해 나가자고 합의했다.
북한 문제를 포함한 지역의 여러 지정학적 위기에 대응해 나가기 위해 한미일 공조를 지속, 유지, 발전시키고 한일 간에도 협력을 심화하자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