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30일을 맞아 첫 공식 기자회견을 연 가운데, 주요 외신들은 대미 통상 협상 입장과 한일관계 개선 의지, 경제 회복을 위한 재정정책 구상 등에 주목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대통령의 30일, 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하다'라는 제목으로 기자회견을 열고 경제·외교·안보 등 국정 전반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로이터, AP통신, 워싱턴포스트(WP) 등 주요 외신은 이 대통령이 "오는 8일 미국 측의 관세 유예 시한 종료까지 협상을 마무리하지 못할 수도 있다"고 언급한 점에 주목했다.
이 대통령은 외신 기자의 한미 관세협상 관련 질문에 "협상이 매우 쉽지 않은 것은 분명하다"며 "쌍방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그야말로 호혜적인 결과를 만들어내야 하지만 아직까지 쌍방이 정확히 무엇을 원하는지 명확하게 정리되지 못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WP는 이와 관련해 "미국이 자동차와 반도체 등 무역 의존도가 높은 한국의 핵심 수출 품목에 대해 별도의 관세 인상을 추진해왔다"며 "(여기에 더해) 한국 내에선 한반도에 주둔하는 2만8천명의 미군에 대해 한국이 훨씬 더 많은 비용을 부담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로이터는 이 대통령이 "과감한 재정정책을 통해 침체된 경제를 부양하겠다"고 밝힌 점에도 주목하며, 국가 경제 회복을 향한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고 분석했다.
한편 일본 언론들은 이 대통령이 회견에서 밝힌 '빠른 방일' 의지와 '셔틀 외교 복원' 추진 발언을 비중 있게 다뤘다.
이 대통령은 이날 회견에서 "오른손으로 싸워도 왼손은 서로 잡는다"는 유연하고 합리적인 태도를 강조하며 "(한일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이자 자유민주 진영의 일원"이라며 협력 의지를 드러냈다.
또 "빠른 시간에 일본에 갈 생각이었지만, 일본이 선거 때문에 매우 바빴다고 한다"며 "날짜를 확정하지 못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북일 관계 최대 현안인 일본인 납북자 문제에 대해서도 "우리 정부로서도 할 수 있는 일이 있다면 협력하는 것이 맞다"며 공감을 표했다.
회견 직후 요미우리신문은 "이 대통령이 조기 방일에 대한 의욕을 보였다"고 보도했다. 마이니치신문도 "이 대통령이 필요할 때 수시로 왕래하며 협력 사안을 논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전했다.
산케이신문은 강제징용 해법과 관련해 이 대통령이 취임 당일 "국가 간 관계는 정책의 일관성이 중요하다"고 말한 점을 재차 언급하며 윤석열 전 대통령이 제시한 해법을 계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아사히신문은 이 대통령이 "정상외교와 대북 정책에 일찍 착수해왔다"면서 "윤 전 대통령의 계엄령 발동 이후 정체됐던 국내외 정책을 더욱 진전시킬 의지를 드러냈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