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진 집중호우 피해 현장. 당진시 제공수백 년에 한 번 내릴 법한 비가 사실상 일상화가 된 상황에서, 기존 시설과 제도를 손보는 일 또한 시급한 과제가 됐다.
지난 17일 충남 서산과 당진, 천안, 아산, 예산, 홍성을 포함한 전국 10곳에는 '200년 빈도 비', 그러니까 200년에 한 번 내릴 만한 양의 비가 쏟아졌다.
이날 새벽 서산에 한 시간 동안 내린 비는 또한 시간당 강수량 기준 '100년 빈도의 비'로 기록됐다.
충남에서는 지난해 금산에서도 시간당 강수량 기준 '200년 빈도 비'가 내렸다.
100년, 200년 빈도의 비가 매년 반복될 수 있는 현실이 된 셈이다.
반면 하천은 50-100년, 배수펌프장은 20-30년 기준으로 설계돼 극한호우가 일상화된 현 상황에서는 침수를 막기에 한계가 있다고 도는 설명했다.
도는 우수·하수관, 배수펌프 등 배수시설과 하천 설계용량을 200년 빈도 극한호우도 견딜 수 있도록 상향시키고, 피해민에 대한 복구 지원 기준도 현실화되도록 정부에 건의할 방침이다.
집중호우 피해 규모에 미치지 못하는 정부 지원 기준은 현장의 또 다른 고민이다.
예를 들어 호우로 집이 반파되면 최대 2천만 원, 침수되면 350만 원인데 현실과 거리가 있다는 것이다.
또 영농시설은 피해액의 3분의 1 정도, 농작물도 대파대의 절반만 지원되고 있는데 보험 미가입 농가와 쪽파 등 보험에 가입할 수 없는 작물을 재배하는 농가의 경우 영농 재개에 어려움이 따르는 실정이다.
김태흠 충남지사는 "매년 정부 지원에서 부족한 부분은 도가 추가로 지원해왔지만 이제는 획기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며 "앞으로 정부와 협의해 피해 예방 및 복구 지원 등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수립해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