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실적 풍향계' 마이크론 날았다…삼성·SK 훈풍 부나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마이크론 매출 전년比 46%↑…가이던스도 시장 전망치 상회
메모리 가격 오름세, 140조 역대급 동맹까지…메모리 슈퍼사이클 기대

연합뉴스연합뉴스
'메모리 반도체 실적 풍향계'로 불리는 미국 마이크론테크놀로지가 시장 전망치를 웃도는 실적을 발표하면서 국내 반도체 업계 실적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최근 세계 최대 AI인프라 기업인 엔비디아와 생성형 AI 챗GDP 개발업체 오픈AI가 전략적 동맹까지 맺으면서 '메모리 반도체 슈퍼사이클(장기적인 가격 상승 추세)'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는데, 내년 6세대 HBM(고대역폭메모리) 시대가 열리면 업체간 경쟁도 치열해질 전망이다.

마이크론, 실적·가이던스 모두 시장 전망 상회…"D램, 공급 수요에 못 미쳐"

연합뉴스연합뉴스
마이크론은 23일(현지시간) 2025년 회계연도 4분기(6~8월) 매출 113억 2천만 달러, 주당순이익 3.03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시장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인 매출 112억 2천만 달러, 주당 순이익 2.86 달러를 웃도는 수준이다.

마이크론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보다 약 한 달 먼저 실적을 발표해 메모리 업계의 '실적 바로미터'로 불린다.

가이던스(실적 전망치)도 시장 전망을 상회하는 수준으로 제시했다. 마이크론은 2026년 1분기(2025년 9~11월) 매출을 125억 달러로 전망했는데 이는 시장 컨센서스(119억 4천만 달러)를 웃도는 수준이다.

마이크론은 "2025년 1~12월 D램과 낸드의 수요가 기존 전망보다 커지고 있다"며 "마이크론의 공급량은 이에 못 미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2026년에는 D램 공급 부족이 심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AI서버 확산에 D램 가격 고공행진…SK, 분기 영업익 첫 10조 기대감

글로벌 메모리 업황의 뚜렷한 개선세에 마이크론의 깜짝 실적 발표까지 더해지며 한국 메모리 업체 호실적 및 메모리 반도체 슈퍼사이클 기대감도 고조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PC용 DDR4(8Gb 1Gx8)의 8월 평균 고정거래가격은 7월 대비 46.15% 오른 5.7달러로 집계됐다. DDR4 제품은 지난 3월 말 1.35달러에서 상승세를 이어가며 5개월 만에 4배 넘게 올랐는데 업계는 범용 D램의 가격 상승세가 4분기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고있다.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 등 미국 빅테크뿐만 아니라 텐센트 등 중국 기술기업들도 AI서버 등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이어가면서 D램 수요가 폭발한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엔비디아와 오픈AI의 전략적 동맹도 시장 기대감을 키우는 또 다른 요인이다.

최근 엔비디아는 오픈AI에 최대 1천억달러(우리돈 약 140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투자금 대부분은 오픈AI 인프라 구축에 투입되고, 이를 통해 엔비디아는 오픈AI의 지분을 받는 구조다. 대규모 AI데이터센터를 구축하면 AI서버 원가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핵심 부품인 HBM 등 고성능 메모리 수요는 늘게 된다.

이에 시장에선 3분기 SK하이닉스가 사상 처음으로 분기 영업이익 10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보고 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올해 3분기 SK하이닉스의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전년 동기(7조 300억원) 대비 52.45% 증가한 10조 7174억원으로 집계됐다.

한편 삼성전자의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전년 동기(9조 1800억원)를 소폭 웃도는 수준(9조 6687억원)으로 전망됐다.

6세대 HBM 시장을 잡아라…메모리 3사, 주도권 경쟁 격화

연합뉴스연합뉴스
메모리 반도체 빅사이클의 중심에 서기 위한 기술 주도권 경쟁도 격화하고 있다. 특히 시장 '큰 손'인 엔비디아에 6세대 HBM 제품(HBM4)를 납품하기 위한 기싸움이 이어지는 모양새다.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 마이크론 등 3사 모두 샘플을 엔비디아에 보냈고, 퀄테스트(품질 검증)을 받을 전망이다.

마이크론은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전화회의)에서 "주요 고객사 요구에 맞춰 대역폭을 최대 11Gpbs로 높인 HBM4 고객 샘플(CS)을 전달했고 내년 상반기 첫 제품을 출하할 계획"이라고 했는데 시장 일각에서 제기된 '마이크론 탈락설'을 잠재우기 위한 발언으로 풀이됐다.

최근 SK하이닉스가 세계 최초로 HBM4 개발을 완료하고 양산체계를 구축했다는 보도자료를 내면서 대역폭 및 전력효율, 동작속도 개선 내용을 구체적으로 밝힌 것도 엔비디아의 HBM4 납품을 염두에 둔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삼성전자는 상대적으로 조용히 대응하고 있지만 업계에선 6세대 HBM 주도권 경쟁에서 삼성전자의 경쟁력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

KB증권 김동원 연구원은 "삼성전자 HBM4는 공급사들 중 가장 높은 속도를 구현해 엔비디아의 성능 상향과 물량 확대를 동시에 충족시켜 경쟁사 대비 유리한 입지 구축이 전망된다"며 "이는 글로벌 HBM 시장에서 강력한 레퍼런스 작용하고 북미 빅테크 업체들의 HBM 공급 물량도 동시에 급증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내다봤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