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이원택 국회의원. 이원택 의원실 제공농촌진흥청이 글로벌 농업인재양성사업을 시행하고 있는 가운데 사업 참여자 절반이 농업과 관련 없는 분야로 취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원택 의원(전북군산시·김제시·부안군을)은 국민 세금으로 해외연수까지 보낸 농업 인재의 절반이 농업과 무관한 분야로 취업하고 있다며 농촌진흥청의 '글로벌 농업인재양성사업'의 문제점을 제기했다.
이원택 의원이 농촌진흥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글로벌 농업인재양성사업' 파견 후 취업에 성공한 참여자 중 농업과 무관한 비농식품분야 취업률이 2024년 기준 49.1%에 이르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공공기관이나 금융기관, IT 업계 등 청년층이 선호하는 분야로 취업하는 비중이 증가한데 따른 것으로,
지난 2020년 32.4%에서 5년간 지속적으로 높아진 것이어서 사업에 대한 점검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이 의원은 농촌진흥청이 이러한 명백한 사업 실패를 덮기 위해 현실을 왜곡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농진청은 비농식품분야 취업을 '타 분야와 연계해 농산업을 미래지향적으로 발전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해명했고 심지어 CJ 엔터테인먼트나 국제이주기구 취업 사례를 '융복합 산업 진출' 사례로 제시하며 사업 실패의 본질을 호도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의원은 처음부터 농업 분야에 대한 비전이 부족한 인력을 부실하게 선발해 해외 경험만 쌓게 해준 명백한 정책 설계 실패에서 비롯됐다고 지적했다. 또 농진청이 이탈 방지 대책으로 제시한 '사후관리 강화' 등은 구체적인 예산이나 실행 계획이 없는 원론적 수준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이원택 의원은 국민 혈세를 낭비하고 정책 실패를 융복합 인재 라는 말로 포장하는 것은 명백한 직무유기이자 국민을 기만하는 행태라고 규정하며 "농진청은 총체적 사업 실패에 대한 책임을 지고 낭비된 예산을 소상히 밝히는 한편 선발부터 취업 연계까지 사업 전반을 재설계하는 특단의 대책을 즉각 수립하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