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춘천시, 교육부 평가서 'A등급'…전국 최고 수준 교육도시로 도약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핵심요약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운영 평가서 최고등급 획득
추가 사업비 최대 10억 원 확보…내년 사업계획 보완 제출
시민·교육현장·행정이 함께 만든 실질적 거버넌스 인정받아
공교육 혁신·대학 연계·마을 돌봄까지 '교육도시 춘천' 모델 확산

연합뉴스연합뉴스
강원 춘천시가 교육부가 실시한 '2024년도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운영 성과관리' 평가에서 최고등급인 A등급을 받았다. 이번 평가로 춘천시는 2025년도 교육발전특구 사업비를 추가로 최대 10억 원까지 확보할 수 있게 됐다.

교육부는 전국의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을 대상으로 교육혁신 의지, 공교육 강화 노력, 지역 협력체계 등을 종합 평가해 A~C등급으로 나눴으며, 춘천시는 행정과 교육현장이 함께 만든 실질적인 거버넌스 구조와 시민참여형 소통체계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춘천시는 이번 평가 결과를 토대로 2025년도 사업계획을 보완해 교육부에 제출할 예정이다.

시는 행정과 현장이 함께하는 교육도시 모델을 구축하며 교육혁신의 모범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현재 춘천시는 교육청과 강원대·한림대를 비롯한 6개 대학, 산하기관, 시민단체가 참여하는 교육협력체계를 운영하고 있으며, '교육도시위원회'를 중심으로 초·중·고, 시민교육, 대학도시 등 3개 분과위원회를 구성해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고 있다.

이러한 협력 구조는 정책의 실행력과 지속성을 높이는 핵심 동력으로 평가받는다.시민이 참여하는 교육문화도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교육도시 춘천 포럼', '우리봄내 동동 성과공유회' 등 정례행사를 통해 시민과 학교가 함께 정책을 논의하며, 시장이 직접 학교를 방문해 현장의 의견을 청취하는 시스템을 갖췄다.

특히 마을교육돌봄공동체 '우리봄내 동동'은 주민이 주도적으로 아이들의 교육과 돌봄을 함께 책임지는 지역 기반 모델로 자리 잡았다. 이는 전국적으로 주목받는 지역사회 중심의 교육혁신 사례로 꼽힌다.공교육 혁신과 대학 연계 프로그램에서도 뚜렷한 성과가 나타났다.

춘천고는 자율형 공립고로, 강원생명과학고는 협약형 특성화고로 지정됐으며, 원도심 학교 활성화 사업인 '더나은 원도심+학교'를 통해 지역과 학교의 상생 발전을 이뤄냈다.

또한 미국 세인트존스대학의 인문학 토론식 수업 방식을 도입한 '그레이트북스(Great Books)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문해력과 사고력을 높이고 교사의 교수 역량을 강화하는 혁신적 교육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했다.

이재경 춘천시교육도시과장은 "이번 A등급은 시와 교육청, 대학, 시민이 함께 만든 성과"라며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교육혁신을 이어가 전국 최고의 교육도시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