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은 현지시간으로 26일 미국 조지아주 엘라벨에서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의 준공식을 열었다. 현대자동차·기아 제공트럼프 행정부의 외국산 자동차 관세 25% 부과 조치에 대해 부산 자동차 부품 업계에서는 우려가 현실이 됐다고 비상이 걸렸다. 특히, 현대차가 31조 원에 달하는 대미 투자 계획과 관련해 규모가 큰 1, 2차 협력업체를 제외한 중소 사업체는 관세, 물류비에 직격탄을 맞을 수밖에 없지만, 이렇다 할 대책이 없다며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부산지역본부에 따르면 2024년 부산의 자동차부품 대미 수출액은 9755만 달러, 자동차부품은 부산 전체 대미 수출의 3.61%를 차지하고 있다. 부산에서 매출액이 25억이 넘는 자동차 부품업체는 190여 곳, 작은 규모까지 합치면 500곳이 넘는다. 대부분 현대 기아차 협력업체다.
규모가 큰 1, 2차 협력업체는 현대차를 따라 생산기지를 옮길 수 있지만, 나머지 중소, 영세 업체들은 관세 위협에 그대로 노출돼 있다. 미국 현지에 생산기지를 구축하는 것은 엄두도 못내, 결국 영세 납품업체들이 관세, 물류비 부담 떠안을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한국GM 창원공장은 미국 수출 비중이 80%가 넘는다. GM과 거래하는 부산지역 부품업체는 직격탄이 불가피하다. 장기적으로 미국으로 수출하는 한국산 자동차 생산량이 줄면 그 여파로 조달하는 물량도 줄어 생산라인 조절, 인력감축 부담까지 우려한다. 여기에다 원자재 가격도 들쭉날쭉해 기업 경영 상황이 악화일로밖에 없는 상황이다.
르노코리아도 부산공장을 핵심 생산기지로 활용하기 위해 전기차 브랜드 폴스타의 '폴스타4' 생산설비를 갖춰 올해 안에 본격 생산에 들어갈 계획이다. 여기서 생산한 차량은 모두 북미로 수출할 계획이었지만, 관세 장벽으로 비용 압박이 예상된다.
지역 자동차 부품업계는 현대·기아차 등 완성차는 각 부품에 따라 만들어진 '밸류체인(가치사슬)'을 바로 바꾸지 못하는 만큼, 일단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대응책을 마련하자는 분위기다. 12.3 내란사태 이후 정부의 대응책이 전무한 만큼, 부산시 차원에서 만약의 사태에 대비한 자금 운용이라도 숨통을 틔워 달라는게 업계의 요청이다.
또, 자동차부품 수출과 관련한 물류, 관련 기자재 업체도 타격이 예상돼 부산 제조업 전체 침체, 공동화에도 대비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부산자동차부품공업협동조합 오린태 이사장은 "현대차 1, 2차 밴더는 북미에 생산기지를 확충하면 살길이 있지만, 나머지 업체들은 사실상 무대책"이라며 "중소기업이 불확실한 여건 속에서도 신속한 판단을 할 수 있게, 다양한 경로로 자금 지원 대책이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자동차부품 업체의 경쟁력은 품질과 가격인데, 부산 업체들은 이미 세계시장에서 인정받고 있다. 미국 현지 한 자동차 업체에서 자체 조사한 결과 미국, 멕시코에서 부품을 조달하는 것보다 한국 업체의 가격 경쟁력이 30~40%가량 더 있다는 결과가 나온 것도 있으니, 일단 상황을 예의 주시하고 있지만, 모든 것이 안갯속"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