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조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간) 퇴임 이후 처음으로 공식 석상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공개 비판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바이든 전 대통령은 이날 시카고에서 열린 장애인 단체 행사에서 "트럼프 행정부는 100일도 안 되는 기간에 엄청난 피해와 파괴를 초래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바이든은 특히 연금과 사회보장 혜택을 지급하는 사회보장국(SSA)을 언급하며 "트럼프 행정부가 SSA에 도끼를 내리쳤다"고 비판했다. 이어 "사회보장제도는 국민에게 한 국가의 신성한 약속"이라며 "사회보장이 삶에 얼마나 중요한지 우리는 잘 알고 있다"고 강조했다.
SSA는 은퇴자, 산재 피해자, 저소득층 등 약 7300만 명에게 혜택을 제공하고 있으며, 연간 지급액은 1조 4천억 달러(한화 약 1998조 원)에 이른다.
앞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이끄는 정부효율부(DOGE)는 SSA를 예산 감축의 핵심 대상으로 지목했다. 머스크는 '정부 내 낭비 근절'을 내세우며 SSA에 DOGE 직원을 파견했고, 최소 7천 명의 인력을 줄이고 일부 사무소를 폐쇄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당시 머스크는 사회보장제도를 '폰지 사기'에 비유하기도 했다. 이를 두고 바이든 전 대통령은 "무슨 헛소리인가. 자격이 있는 사람들이 정당한 권리를 요구하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하지만 이날 바이든 전 대통령의 발언은 민주당 내에서도 엇갈린 반응을 불러왔다. AP통신은 "바이든의 복귀가 당 내부에서 논란을 낳고 있다"고 전했고, 로이터는 "일부 민주당원들은 그가 정계에 다시 나서는 것이 오히려 역효과를 낼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고 했다.
특히 민주당 일각에서는 바이든 전 대통령의 등장이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의 무역전쟁, 관세 정책 등으로 직면한 정치·경제적 반발을 희석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바이든 전 대통령은 고령 논란 속에 지난 1월 재선 도전을 포기하고 퇴임했으며, 당시 지지율은 38%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역대 대통령 중 최저 수준이었다. 민주당 내에서는 트럼프의 승리 책임을 바이든에게 돌리는 목소리도 여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