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尹, '총 쏴서라도 들어가라', '계엄 두세 번 하면 된다'" 軍 증언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尹-이진우 통화내용 구체적 증언 나와
'총 쏴서 문 부수고 들어가라' 尹 지시
"이건 진짜 아니다" 군 관계자 증언

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내란 우두머리 혐의 등으로 기소된 윤석열 전 대통령이 12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3차 공판에서 오전 공판을 마치고 법원을 나서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내란 우두머리 혐의 등으로 기소된 윤석열 전 대통령이 12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3차 공판에서 오전 공판을 마치고 법원을 나서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12·3 비상계엄 당시 국회에 출동한 육군 수도방위사령관 부관이 당일 밤 윤석열 전 대통령이 이진우 전 수방사령관에게 "총을 쏴서라도 문을 부수고 들어가라", "(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이 통과되더라도 두 번, 세 번 계엄 하면 된다"고 말하는 것을 들었다고 증언했다. 이러한 지시에 대해 해당 부관은 "이건 진짜 아니라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12일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지귀연 부장판사) 심리로 열린 윤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사건 세 번째 공판에서 오상배 전 수도방위사령관 부관(대위)이 증인으로 출석했다. 오 부관은 계엄 당일 윤 전 대통령과 이 전 사령관 간 통화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오 전 부관은 계엄 당일 밤, 이 전 사령관과 국회 앞에 출동해 같은 차 안에서 대기 중이었다. 오 전 부관은 대통령으로부터 첫 전화가 왔을 당시 군용 비화폰에 '대통령'이라고 떠서 이 전 사령관에게 건넸다고 말했다. 그는 첫 통화에서 "이 전 사령관이 '다 막혀 있는데 총을 들고 담 넘어서 들어가라고 했다'는 취지로 대통령에게 보고한 것으로 기억한다"고 했다.

지난해 12월 3일 밤, 윤석열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가운데 4일 새벽 계엄군이 서울 여의도 국회 경내로 진입하고 있다. 박종민 기자지난해 12월 3일 밤, 윤석열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가운데 4일 새벽 계엄군이 서울 여의도 국회 경내로 진입하고 있다. 박종민 기자
두 번째 통화에서는 이 전 사령관이 '사람이 너무 많아서 못 들어가고 있다'고 말하자 윤 전 대통령이 '본회의장에 들어가서 4명이 1명씩 들쳐업고 나와라'고 했다고 증언했다. 그는 "본관에 들어가 4명이 1명씩 가마를 태워서 데리고 나오는 식의 이미지가 연상됐다"고 말했다. 당시를 떠올리며 그는 "(윤 전 대통령이) 법률가시니까 법률적으로 가능한가보다 했다"라고도 했다.

대통령의 통화는 계속됐다고 한다. 이 전 사령관이 세 번째 통화에서도 사람이 많아 접근이 어렵다는 취지로 말하자 윤 전 대통령은 '총을 쏴서라도 문을 부수고 들어가라'는 취지로 말했다고 증언했다. 오 전 부관은 "총을 허공에 한발 '탕' 쏴서 사람들이 겁에 질려 있을 때 문을 부수고 들어가는 장면을 연상했다"고 했다. 검찰 측이 오 전 부관에게 "총을 쏴서라도 들어가라는 윤 전 대통령의 말을 들을 때 어떠했느냐"고 묻자, "이건 진짜 아니라고 생각했다"고 답했다.

지난해 12월 3일 밤 윤석열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가운데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경내로 진입하려는 계엄군과 저지하려는 시민 및 국회 관계자들이 대치하고 있다. 박종민 기자지난해 12월 3일 밤 윤석열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가운데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경내로 진입하려는 계엄군과 저지하려는 시민 및 국회 관계자들이 대치하고 있다. 박종민 기자
그는 비상계엄 해제 결의안 통과 뒤에도 윤 전 대통령이 이 전 사령관에게 전화를 걸었다고 증언했다. 네 번째 통화에선 "'지금 (국회의원) 190명이 의결했다고 하는 데 실제로 190명이 맞는 확인이 안 되니까 계속해라'는 취지로 말했다"며 "(윤 전 대통령이) '내가 (계엄) 선포하기 전에 병력을 미리 움직여야 한다고 했는데 다들 반대를 해서 일이 뜻대로 안 풀렸다'는 취지로 이야기했던 것 같다. '결의안이 통과됐다고 해도 두 번, 세 번 계엄 하면 되니까 계속해라' 이런 말이었다"고 증언했다.

오 전 부관은 심리적 고통을 받고 있고, 신상 공개가 부담된다는 사유로 비공개 재판을 요청하기도 했지만, 재판부는 받아들이지 않았다. 재판부는 "일부 증인은 소속 부대장이 반드시 비공개해야 한다고 해서 비공개로 했는데 증인은 그렇지 않다"고 설명했다.

오 전 부관은 처음 윤 전 대통령이 법리적으로 옳은 일을 하고서 책임을 다 질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이후 윤 전 대통령 측 석동현 변호사가 "체포의 '체' 자도 얘기한 적이 없다"고 한 인터뷰를 보고 진실을 밝히기로 결심했다고 말했다. 그는 "생각과 많이 달라서 당황했고 일종의 배신감을 느꼈다"며 군검찰의 두 번째 조사에서 통화 내용을 진술한 배경을 밝혔다.

오후에는 오 전 부관에 대한 윤 전 대통령 측 반대신문과 박정환 육군 특수전사령부 참모장(준장)의 증인신문이 이어진다. 윤 전 대통령은 이날 오전 재판을 마치고 나오며 '증인도 국회 문을 부수고 들어가라고 들었다는데 직접 지시한 게 맞느냐', '증인 순서에 여전히 정치적 의도가 있다고 보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아무런 답을 하지 않았다.

18

1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