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육아휴직을 사용하는 남성이 많이 증가했지만, 이들의 절반 이상은 대기업에 재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육아휴직 제도 사각지대 개선 방안'에 따르면, 고용행정통계 자료를 토대로 2023년 기준 육아휴직급여를 받은 수급자와 재직 중인 기업 규모 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
육아휴직급여 수급자는 해당 연도에 중복 인원을 제거한 육아휴직급여를 받은 순 수급자와 처음으로 육아휴직급여를 받은 첫(초회) 수급자로 나눌 수 있다.
2023년 기준 육아휴직급여 순 수급자는 29만5697명이고, 이 중 첫 수급자는 12만6069명이었다.
순 수급자 중 여성은 22만4126명(75.8%), 남성은 7만1571명이었다. 남성 비중은 2018년 13.4%에서 2023년 24.2%로 10.8%p 증가했다.
2023년 순 수급자 중 300명 미만 중소기업 재직자는 55.1%, 300명 이상 대기업 재직자는 44.9%였다.
청년 취업자의 중소기업 재직 비중(84.5%) 대비 육아휴직급여 순 수급자 비중(55.1%)은 29.4%p 낮았다.
순 수급자 남성 중 대기업 재직자는 56.7%로, 중소기업 재직자 43.3%를 크게 웃돌았다.
특히 순 수급자 중 남성 비중은 2018년부터 2023년까지 10.8%p 증가했지만, 같은 기간 중소기업의 경우 8.4%p(10.6%→19.0%) 증가해, 대기업 14.4%p(16.1%→30.5%)에 비해 낮았다.
연구팀은 "육아휴직급여 순 수급자 남성 중 절반 이상은 대기업에 재직하고 있다"며 "중소기업 남성 육아휴직 활성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