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KT·韓가스공사, 보상선수 대신 보상금만…KCC, 허훈 영입에 올해만 22억원 쓴 셈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KCC로 이적한 허훈. KBLKCC로 이적한 허훈. KBL
보상선수 대신 보상금만, 예상대로였다.

수원 KT와 대구 한국가스공사 모두 자유계약선수(FA) 이적에 따른 보상으로 현금 보상을 선택했다. 타 구단으로 이적한 선수의 전 시즌 보수 총액의 50%와 보호선수 4명을 제외한 선수 1명 혹은 전 시즌 보상 총액의 200%를 선택해야 하는데 양팀 다 후자를 고른 것이다.

KBL은 8일 보도자료를 통해 KT는 현금 14억 원을, 한국가스공사는 현금 10억 원을 각각 받기로 했다고 밝혔다.

만 35세 미만인 선수가 해당 시즌 보수 서열 30위 안에 포함돼 있을 때 보상이 발생한다. KT 소속 선수였던 가드 허훈와 한국가스공사 소속이었던 가드 김낙현이 여기에 해당한다.

허훈은 최근 FA 자격을 얻고 부산 KCC로 이적했다. 허훈의 전 시즌 보수 총액은 7억원이었다.

KCC는 허훈, 허웅, 최준용, 이승현, 송교창 중 4명밖에 보호할 수 없었다. KT는 KCC의 보호 명단에서 제외된 올스타급 선수 1명을 선택할 수 있었지만 이를 포기하고 현금 보상을 골랐다. 선수 1명과 3억 5000만원 혹은 14억 원 중 후자를 선택했다.

김낙현은 최근 SK로 이적했다. 전 시즌 보수 총액은 5억 원이었다. 스타 군단 SK에는 보호선수 4명 외에도 충분히 전력에 도움이 될만한 선수가 있지만 한국가스공사는 보상선수 없이 5억 원의 200%, 현금 10억 원을 받기로 했다.

요즘 프로농구는 당장 차기 시즌 구단 운영비로 충당할 수 있는 거액의 현금을 포기하기는 어려운 환경이다. 모기업의 지원이 예전만 못하다. 또 50%와 200%의 차이는 매우 크다. 허훈의 경우 그 차이가 10억 원이 넘는다.

다수의 구단들은 이 같은 상황을 미리 대비하기도 한다. FA 시즌을 앞둔 선수의 연봉을 '오버페이' 형식으로, 더 비싼 몸값으로 책정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만약 예기치 못한 이적이 발생할 경우 보상금을 더 많이 받을 수 있도록 장치를 미리 마련해 놓는 것이다.

SK로 이적한 김낙현. KBLSK로 이적한 김낙현. KBL
허훈과 김낙현의 계약 기간은 모두 5년이다. KCC는 허훈과 첫해 보수 총액 8억 원에 계약했다. SK는 김낙현과 4억 5000만 원의 조건에 도장을 찍었다. 두 구단이 내야 할 보상금까지 포함하면 KCC는 올해에만 허훈 영입을 위해 22억 원을 쓴 셈이고 SK의 경우는 14억 5000만 원이 된다.

FA를 통해 선수를 보강하려면 이 정도 투자는 각오해야 한다. 다소 정상적이지 않은 KBL의 FA 제도 때문에 그렇다. FA는 'Free Agent'의 약자지만, KBL FA 제도에는 자유가 없다.

보상선수 영입은 FA 계약으로 전력을 끌어올린 팀을 견제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였다. 해당 구단의 주전급 주축 선수 1명을 데려올 수 있기 때문이다. '자유'가 있는 FA 제도에서는 보상선수 개념도 존재하지 않겠지만, 어쨌든 KBL에서는 가능하다. 하지만 최근 프로농구에서는 FA 이적 후 보상선수 이적이 뒤따르는 경우가 거의 없다. 대부분 보상금만을 선택해왔다. 올해도 마찬가지다.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