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정부서울청사 인근에서 열린 제주 교사 추모 및 교권 보호 대책 요구 전국 교원 집회에서 참석자들이 관련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교사들이 다시 거리로 나섰다. 2년 전 서이초 사건 후 정부가 교권을 보호하겠다며 여러 대책을 내놓았지만 이번에도 비극을 막지 못해서다. 교사들은 제주에서 민원 등에 시달리던 교사가 숨진 채 발견된 사건의 철저한 진상 규명과 순직 인정을 촉구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교사노동조합연맹,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등 92개 교원 단체 및 노동조합은 14일 오후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제주 교사 추모 및 교권 보호 대책 요구 전국 교원 집회'를 열었다.
이들은 "교육부는 서이초 사건 이후 교사 홀로 민원을 감당하는 일을 없애겠다고 약속했으나 달라진 게 없다"며 "교사 개인 연락처로 민원을 받는 일이 없도록 온라인 민원 접수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교원들은 악성 민원과 무분별한 아동학대 신고에 여전히 고통받고 있다. 견디다 못한 제주의 한 동료 교사가 또 우리 곁을 떠났다"며 "더는 학생을 가르치다 죽지 않게 해달라"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달 22일 새벽 제주의 한 중학교 창고에서 40대 교사 A씨가 숨진 채 발견됐다. A씨의 유족은 고인이 최근 학생 가족의 지속적인 민원을 받아 밥도 제대로 먹지 못할 만큼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들 단체는 "학교장 중심의 민원대응팀 운영이 실효성 있도록 정부와 교육청이 충분히 지원하고, 악성 민원에 대응할 수 있는 법적 방어 장치를 강화해야 한다"며 "무고성 신고로부터 교사를 보호할 수 있게 아동복지법 및 아동학대처벌법 개정을 촉구한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