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17일(현지시간) 캐나다 앨버타주 캐내내스키스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장에서 업무 오찬을 겸해 열린 G7 정상회의 확대 세션에 참석해 있다. 오른쪽은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연합뉴스이재명 대통령이 17일(현지시간) G7(주요 7개국) 정상회의 확대세션에 참석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캐나다 카나나스키스에서 '에너지 안보의 미래'를 주제로 열린 확대세션에 참석해 발언에 나섰다.
이번 세션에는 G7 회원국 정상과 한국·호주·인도·남아공·브라질·멕시코·우크라이나 등 7개 초청국 정상, 유엔(UN)·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세계은행(WB) 등 초청기구의 수장이 참석했다.
이 대통령은 확대세션에서 △에너지 공급망 협력 △AI(인공지능)-에너지 연계와 기술 혁신에 있어 글로벌 번영에 기여하는 국가로서 대한민국이 추구하는 정책과 비전을 소개했다.
첫 번째 발언에서는 에너지 안보 달성과 핵심 광물 공급망 안정화가 글로벌 경제 성장과 번영의 관건이라고 진단하며, 대한민국이 이를 위한 국제적 연대와 협력에 적극 동참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AI 기술 발전으로 전력수요가 급증하는 가운데, 기후 변동성과 지정학적 불안정성으로 에너지 공급망이 위협받고 있는 현실을 언급하면서, 에너지 안보를 위해서는 안정적이고, 경제적이며, 신뢰할 수 있는 에너지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견고한 재생에너지 산업생태계 구축 △'에너지 고속도로'와 같은 효율적 에너지 인프라 마련 △사이버 공격에도 견뎌낼 수 있는 신뢰할 수 있는 에너지시스템 구축을 통해 에너지 안보를 공고히 해나가자고 제안했다.
아울러 친환경 에너지 생태계에 필수적인 핵심광물 공급망의 중요성을 설명하는 한편, 한국이 '핵심광물안보파트너십(MSP)' 의장국 활동을 통해 핵심광물 공급망 안정에 기여해 나가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G7 회원국과 파트너국을 비롯해 핵심광물 보유국들과 양자 및 다자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AI 기술의 발전 방향을 주제로 한 두 번째 발언에서는 AI 시대의 거대한 변화 속에서 국제사회가 준비해야 할 세 가지 과제를 제시했다.
이 대통령은 AI 기술 혁신을 위해서는 안정적인 글로벌 AI 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며, 한국이 AI 반도체 공급망 안정을 위한 국제협력과 연대에 적극 기여하면서 저전력 AI 반도체(NPU) 개발 등을 통해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는 한편, AI 산업에 필수적인 에너지 공급망 확보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어 AI 혁신에 있어 민간의 역할이 크다며, 민간의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과감한 세제 혜택과 규제혁신, 국민펀드 조성을 통해 국가 전반의 AI 대전환을 추진하고, 아시아태평양지역 제1의 AI 허브 구축을 병행하겠다고 제시했다.
아울러 모든 인류가 AI의 혜택을 향유할 수 있도록 국제사회와 협력해 나가겠다는 의지도 표명했다.
이 대통령은 한국이 올해 경주에서 개최하는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에서 글로벌 AI 협력의 비전과 구체적인 이행방안을 제시할 것이라며, 이에 대한 주요국 정상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요청했다.
한국은 이번 정상회의에서 채택된 'G7 핵심광물 행동 계획'과 '카나나스키스 산불 헌장' 등 2개 결과문서에 초청국 자격으로 동참했다. G7 핵심광물 행동계획은 공급망의 다변화를 위한 국제협력 방안을, 카나나스키스 산불 헌장은 산불 예방·대응·회복력 있는 복구에 관한 전 사회적 접근의 필요성 등의 내용을 각각 담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과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이 17일(현지시간) 캐나다 앨버타주 캐내내스키스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장에서 한·브라질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대통령실은 "이재명 정부 출범 직후 10여일 만에 이루어진 이번 G7 정상회의 참석은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회복과 정상외교 복원을 알리는 첫 국제무대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평가했다.
이어 "에너지 공급망 다변화, 글로벌 AI 생태계 구축을 위한 우리의 비전을 공유하고 신기술 시대 국제사회의 논의에 국익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참여해 우리 경제에 우호적 여건을 마련하고자 노력했다는 점에서 '국익 중심 실용 외교' 실현을 본격화한 것으로 평가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정부는 이번 G7 정상회의 참석을 비롯해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의 대전환기 속에서 글로벌 현안 논의에 적극 참여함으로써 명실상부한 'G7 플러스(+) 국가' 대한민국의 국제적 위상을 공고화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