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칼럼]청년들 '왜 쉴까' 봤더니…"72%는 비자발적 사유"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연합뉴스연합뉴스
'일자리가 복지'라는 말이 있다. 일자리가 인간생활에서 갖는 중요성을 강조한 말일 것이다. 교육을 마치고 일자리에 편입돼 근로소득이 생기기 시작하면 의.식.주를 위한 소비활동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특히, 현대사회의 필수 안전판인 국민연금과 건강보험 등 4대보험 혜택도 보장된다. 다수의 법인들은 임직원의 자녀 학자금까지 보장해 준다.
 
한마디로 일자리를 갖는 순간 삶의 안전판이 확보되지만 애초 일자리를 얻지 못하거나 잃는 순간 인생의 안전판이 사라지는 것과 다름없다. 따라서 누구나 일자리를 구하려고 노력하지만 노력하는 누구나 일자리를 갖게되는 건 아니다. 때로는 일자리가 부족해서, 때로는 기업에서 요구하는 역량을 갖추지 못해 구직대열에서 탈락하는 경우는 허다하다.
 
우리나라의 최근 고용동향을 보면 꾸준히 취업자가 늘어난다는 점에서 긍정적이지만 취업자군을 꼼꼼히 들여다보면 우려스러운 지점이 눈에 띤다. 바로 20대와 30대 젊은층이 취업을 하지못해 쉬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달 취업자수가 전달보다 19만3000명이나 증가했고 연중 꾸준히 취업자수가 늘어나는 추세지만, 청년 고용률은 44.6%로 1년 전보다 1.0%포인트 낮아졌다.
 
일이 없어 쉬었다는 통계를 보면 청년층 일자리 문제가 좀더 명확해 진다.
 국가데이터처 제공국가데이터처 제공
지난 2021년 20대(15~29세 청년층 포함) '쉬었음' 인구수는 41.8만명으로 나타났지만, 이듬해 39만명으로 감소하며 취업이 반짝 느는 듯 했으나 2023년과 2024년에 동일연령대 쉬었음 인구수가 각각 40.1만명, 42.1만명(8월기준)을 나타내며 증가세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다. 30대 역시 지난 2년 사이 쉬었음 인구가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조사국은 최근 펴낸 연구보고서에서 통계청의 청년층 쉬었음 데이터를 토대로 자발적 사유로 쉰 청년이 28%인 반면, 비자발적 사유가 72%라고 지적한 바 있다. 청년층 단기 쉬었음 증가는 '장기 쉬었음' 증가로 이어졌고 쉬었음 상태가 길어질수록 근로를 희망하는 비율이 줄어든다고 한다.
 
청년층 실업문제의 또다른 측면은 실업증가가 기술혁신과 이로인한 일자리의 구조적변화에서 비롯됐다는 점이다. 지난 3년 동안 AI 노출도가 높은 업종에서 청년층 일자리는 21.1만개 중 20.8만개가 감소했지만 50대 일자리는 14.6만개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한국은행 이슈노트 30호)
 
AI가 경력이 적은 청년층의 정형화된 업무를 대체하기 쉬운 반면, 경력직의 암묵적 지식은 보완적으로 쓰이는 '연공편향(Seniority-Biased) 기술변화' 때문이라는 것이 한은 분석이다. AI발전이 청년층을 일자리로부터 밀어내는 커다란 원인이 되고 있다는 의미다.
 연합뉴스연합뉴스
정기 공채가 사라지고 경력직을 선호하는 산업현장의 트렌드변화도 청년층 취업에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다. 기업체들은 업무수행과 직무역량이 검증된 인재이면서 스펙보다는 직무투입 시 곧바로 업무수행이 가능한 이른바 '중고신입'을 최선호한다.

연령대별로 편중된 일자리 숫자와 기술혁신 발 일자리 구조재편, 기업의 경력중심 채용은 하나같이 구조적인 문제들로 구직자들의 노력만으로는 극복이 어려운 문제들이다. 정부가 나서야 한다. 정부가 적극 개입해 청년층이 선택할 수 있는 일자리를 늘리는 정책적 노력이 장기적 안목에서 추진돼야 한다.

청년들이 직무 숙련도를 높일수 있도록 보다 정교하고 실질적인 직업훈련시스템을 갖추고 취업교육-채용 연계프로그램이 대폭 확대되도록 청년 채용확대 기업에 획기적인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청년구직자들이 중고신입이 될 수 있도록 경력을 쌓을 수 있는 통로가 충분히 확보되고 있는 지도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 일정 규모 이상의 기업에 인턴채용을 장려하고 채용시 기업지원금과 인턴수당을 크게 확대하는 것이 현실적 방안이 될 수 있다. 인턴들이 경력을 쌓는 동안 안정적인 생활이 가능하도록 단계적으로 지원을 늘려야 한다.

현재 정부는 '일경험 지원 사업'이나 '청년일자리 도약장려금' 등의 청년구직 지원사업을 펴고 있지만 규모나 지원 면에서 수많은 구직자들을 수용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청년층을 안정적으로 취업전선에 안착시키는 일은 우리사회가 저출산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몸부림치는 일 만큼 중요하다. 사회의 총생산을 담당할 충추이기 때문이다. 애써 늘려놓은 인구가 일자리도 찾지 못한 채 표류하는 건 총노동인구와 유효노동인구 감소로 이어져 결국 국가적 손실로 이어진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