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기후동행카드'를 소개하고 있다. 연합뉴스 다음달부터 시범사업에 들어가는 서울시의 대중교통 무제한 월 정액권 '기후동행카드'에 경기도 김포시가 참여를 확정했다.
기후동행카드는 매달 6만5천원을 내면 서울 시내에서 지하철과 시내버스, 마을버스, 공공자전거 따릉이까지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월 정액권이다. 여기에 김포골드라인과 김포시에서 출발하는 광역버스도 포함시키기로 한 것.
7일 오전 오세훈 서울시장은 서울시청에서 김병수 김포시장과 함께 '서울시-김포시 기후동행카드 참여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양 도시 교통현안 등을 논의했다.
김포시는 광역버스에 더해 김포골드라인도 기후동행카드에 포함시킨 점이 눈에 띈다. 김포골드라인을 통해 서울 지하철로 환승하는 김포시민들은 하루 3만명으로 추산되는데 이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한다는 계획이다.
이에따라 정기권 유형을 김포골드라인과 광역버스를 골라서 선택할 수 있도록 세분화하는 방안도 이번에 새로 도입됐다.
김포골드라인만 추가하면 서울시내에서 사용하는 무제한 정액권 가격인 6만5천원에서 7만원 수준에 기후동행카드를 살 수 있고, 광역버스를 추가하면 요금은 10~12만원으로 올라간다.
서울시는 "광역버스 요금이 1회 2900원인 만큼 경기권은 서울지역보다 교통비 부담이 높다"며 광역버스 이용자는 기후동행카드 요금이 올라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달 17일 광역버스를 위주로 기후동행카드에 참여하기로 한 인천시의 경우에도 정액권 요금이 10~12만원 대가 될 것으로 추산한 바 있다.
다만 기후동행카드의 정확한 가격과 세부내용은 추후 논의를 통해 확정할 계획이다.
경기도가 기후동행카드 불참 의사를 밝힌 가운데 자치시인 김포시가 합류하면서, 서울에 인접한 다른 경기도 자치시도 기후동행카드에 추가로 합류하게 될지 여부도 주목을 받고 있다.
오세훈 시장은 "김포시의 기후동행카드 참여로 서울 인접 경기도 도시의 교통 편익에 대한 공동 노력이 시작된 만큼, 수도권 주민들의 교통 편익 증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한다"며 "민생 중심에서 만들어진 '기후동행카드'가 수도권 다른 도시로 적극 확대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