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LA에서 불법이민 단속에 항의하는 시위대와 이를 막아선 주방위군. 연합뉴스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일(현지시간) LA 일원에서 산발적으로 발생한 불법이민자 단속·추방 반대 시위에 주방위군을 투입한 것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군대를 동원할만큼 시위가 격렬하거나 치안이 위태롭지 않은 상황에서 도리어 시위대를 자극할 수도 있는 조치라는 우려 때문이다.
앞서 LA 등에서는 지난 6일부터 트럼프 행정부의 불법 체류자 단속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가 벌어졌다.
일부 시위대가 주요 도로를 막아 교통을 마비시키기도 했고, 경찰과 불법이민 단속 요원이 시위대를 해산하기 위해 최루탄을 발사하면서 도심 곳곳이 난장판이 되기도 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해당 시위를 '반란'으로 규정하고 주방위군 2천명을 투입하기로 결정했다.
미국 대통령이 관할 주지사의 요청 없이 주방위군을 동원한 것은 1965년 민권운동 시대 이후 60년 만에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
백악관은 "이번 조치는 불법 범죄자들의 미국 내 침입을 막고 상황을 타개하는 데 필수적"이라며 "캘리포니아주의 무책임한 민주당 지도자들이 시민 보호책임을 저버렸다"고 비판했다.
AP통신 등 미국 언론들은 이날 오전 LA 주요 지역 3곳에 주방위군 총 300명이 배치돼 활동을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여기다 피트 헤그세스 국방부 장관도 "LA 인근에 주둔하고 있는 해병대가 주방위군을 지원할 준비가 됐다"고도 거들었다.
이에 대해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는 "트럼프 행정부의 이러한 조치는 의도적이고 선동적이며 긴장을 고조시킬 뿐"이라며 "이것은 잘못된 임무이며 국민의 신뢰를 떨어뜨릴 것"이라고 반발했다.
그는 이어 트럼프 행정에 주방위군 철수를 공식 요구하며 "트럼프가 끼어들기 전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부터 국경 단속 강화와 불법 이민 척결을 주요 공약으로 내세우며 "좌파 세력의 가두시위를 용납하지 않고 대통령 권한을 최대한 활용해 응수하겠다"고 강조해왔다.
이번 주방위군 동원도 트럼프 행정부의 상징과도 같은 불법 이민자 척결, 법질서 확립 등을 정권 초기부터 확실히 해나가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현으로 해석된다.
또한 진보세가 강한 캘리포니아에서 불법 이민 단속 반대 시위가 격렬하다는 것을 부각시킴으로써 차세대 진보진영 주자로 떠오르고 있는 개빈 뉴섬 주지사가 시위를 방조하고 있다는 낙인을 찍으려는 의도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서부 지역의 대형 산불 사태 때에도 뉴섬의 무능력을 비판했고, 성전환 선수의 여성대회 참가를 놓고도 캘리포니아주에 대한 연방자금 지원 중단 카드를 꺼내들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최근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법원이 제동을 걸고, 오른팔이었던 머스크와의 결별 파문 등으로 자신의 위신이 떨어진 것에 대한 시선회피용 보여주기식 군동원이라는 관측도 제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