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으로 완전히 무너져 버린 유치원. 연합뉴스미얀마에서 발생한 규모 7.7의 강진에 따른 사망자가 2천 명을 넘어섰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미얀마 군사정권은 이날 기준 사망자가 2028명, 부상자가 3408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사상자는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현재 미얀마에서는 붕괴한 건물에서 시신이 계속 발견되고 있으며, 여진도 이어지고 있다. 특히 인터넷 등 인프라가 열악하고, 군사정부와 대립 중인 반군이 통치하는 지역의 피해는 집계조차 되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잔해에 갇힌 생존자를 구조할 수 있는 골든타임인 지진 발생 이후 72시간이 가까워지면서 사망자 수는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지진 발생 직후 미국 지질조사국(USGS)의 초기 모델링에서는 "미얀마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1만 명을 넘어설 가능성이 70% 이상"이라는 분석이 나온 바 있다. 이번 지진은 지난 28일 낮 12시 50분쯤, 미얀마 사가잉에서 약 16㎞ 떨어진 지점에서 발생했다. 진원의 깊이는 10㎞로 측정됐다.
강진으로 파괴된 미얀마 고속도로. 연합뉴스
지진 피해는 미얀마 전역에 걸쳐 심각한 상황이다. 도로, 철도, 공항, 다리 등 주요 인프라가 붕괴됐고, 내전으로 이미 경제가 무너진 가운데 약 350만 명의 난민이 발생한 미얀마에 또 한 번의 대형 재난이 덮쳤다.
특히 피해가 극심한 만달레이와 가잉시에는 현재까지도 국제 지원이 도착하지 않은 상태다. 국제적십자사(IFRC)는 "피해가 광범위하며, 인도적 지원이 시급히 필요하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국제사회도 즉각적인 대응에 나섰다. 인도, 중국, 태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구호 물자와 구조팀을 파견했으며, 미국은 미얀마 내 인도주의 단체를 통해 200만 달러 규모의 지원을 약속하고 국제개발처(USAID) 긴급 대응팀을 투입했다.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러시아도 구조 인력을 보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