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융합형 의사과학자 양성 사업…서울대·연세대 등 선정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경북대, 고려대, 서울대 등 대학원 컨소시엄도

복지부 제공복지부 제공
올해 융합형 의사과학자 양성 사업 공고 결과 2개 의과대학과 5개 컨소시엄(13개 의대 대학원)이 선정됐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1일 학부에서는 서울대와 연세대, 대학원끼리 꾸린 컨소시엄에서는 경북대(계명대), 고려대(영남대, 한양대, 충북대), 서울대(충남대), 연세대 신촌(가톨릭대, 아주대, 차의과대), 연세대 원주 등이 이번 사업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에 선발된 기관들은 2025년 3월부터 2028년 2월까지 3년 동안 사업을 수행하면서 의사과학자를 꿈꾸는 학생들을 양성한다.

복지부는 2019년부터 '융합형 의사과학자 양성 사업'을 통해 박사학위 취득까지 전주기 양성 과정을 지원하고 있다. 아울러 이렇게 배출된 의사과학자(MD-Ph.D)들이 계속해서 연구할 수 있도록 최대 11년(신진 3년, 심화 3년, 리더 5년)까지 의사과학자 경력 단계별로 지원하는 '글로벌 의사과학자 양성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그간 대학원 인프라 지원사업은 2019년부터 컨소시엄당 국고 기준 연간 1억8천만 원을 지원했다. 이를 통해 학교별 의사과학자 양성 시스템을 구축하고, 컨소시엄 내 교육·연구 협력 기반을 마련했다.

아울러 컨소시엄 자체적으로 전공의를 선발해 임상 수련과 병행하며 연구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2022년부터는 의대 학부과정까지 지원 대상을 확대해 국고 기준 연간 2억7천만 원을 지원해 의대생들이 의사과학자 진로에 대해 미리 경험하고 고민할 수 있도록 교육환경을 마련하고, 연구 실습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했다.

복지부 정은영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의사과학자는 임상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을 연구실에서 해결할 수 있는 바이오 헬스 분야의 핵심 인재"라며 "학부부터 의사과학자 진로에 대한 고민을 할 수 있도록 저변을 확대하고, 석·박사생에게는 연구에 집중하며, 지속적으로 연구를 할 수 있는 생태계 조성을 위해 사업 확대를 위한 예산 확보, 각종 제도 개선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