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한미 외교차관이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 첫 통화를 갖고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한을 '핵 국가'라고 지칭한 지 하루가 안 되어서다.
트럼프가 북한의 핵보유를 인정하는 뉘앙스의 발언을 하면 한미 실무진에서 이를 수습하는 모습은 트럼프 2기 출범 이후 계속되고 있다.
외교부와 미국 국무부는 1일(현지시간) 김홍균 외교부 1차관과 크리스토퍼 랜다우 미국 국무부 부장관이 차관이 첫 한미 외교차관 통화를 갖고 북핵문제와 한미 경제협력 등에 의견을 교환했다고 밝혔다.
김 차관은 "한미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목표를 지속 유지하는 가운데 북핵‧미사일 대응 등 공조를 강화해 나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랜다우 부장관은 "북한을 포함한 역내 위협 대응을 위한 한미 간 긴밀한 공조"를 강조했다고 외교부는 밝혔다.
이에 앞서 지난달 31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두고 "큰 핵국가(big nuclear nation)를 이끄는 매우 영리한 사람"이라고 말했는데, 한미 외교차관이 바로 이를 진화한 모양새다.
트럼프 대통령의 북한 핵보유국 발언은 처음이 아니다. 그는 지난달 13일(현지시간)일 김 위원장을 "확실히 그는 뉴클리어 파워(nuclear power‧핵보유국)"라고 말했다. 우리 정부는 이때도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는 국제사회의 일치된 목표"라고 강조하며 선을 그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월 취임 후 처음으로 김 위원장을 '뉴클리어 파워'라고 언급했을 때도, 이후 2월 열린 한미일 외교장관회의에서 북한의 비핵화 원칙을 명시한 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
'북한 비핵화'라는 한미의 공식 입장과 북한 핵보유를 인정하는 트럼프의 발언이 엇갈리며 비핵화 목표의 진위에 대한 의구심은 이어지고 있다.
우선은 북한을 협상 테이블로 끌어내기 위한 고도의 전략이 담긴 발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금 시점에서 대북 메세지를 날린 것은 북한에게 좀 더 적극적인 대화를 촉구하는 성격"이라고 말했다.
다만 미국 정부의 북한 비핵화 입장에도 트럼프 대통령이 대화를 위해 북한의 핵 능력을 인정하며 핵 동결(스몰딜) 협상에 나설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목소리도 계속해서 힘을 얻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