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큰 충돌 없이 尹탄핵 찬반 집회 마무리…경찰 대응 빛났다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전국 '갑호비상' 발령…기동대 207개 부대 투입
수만 명 운집에도 대규모 충돌·시설 파괴 피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일인 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정문에서 경찰 병력이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일인 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정문에서 경찰 병력이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헌법재판소(헌재)가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을 선고한 4일, 서울 도심 곳곳에서 대규모 탄핵 찬반 집회가 열렸지만 우려됐던 물리적 충돌은 일어나지 않았다.

8년 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때 극렬 지지자들의 폭력 시위 속에서 4명이 숨지는 불상사가 있었던 만큼, 경찰이 이번에 인력을 주요 현장에 전방위로 배치하는 한편 집회 간 분리도 철저히 하면서 선고일 집회는 비교적 안정적으로 마무리됐다.

경찰은 약 1달 동안 윤 전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일에 대비해 시민 안전 확보를 위한 경비 대책을 가다듬어 왔다. 선고일 종로구 헌재 주변엔 약 200대의 경찰 차량이 배치돼 헌재 반경 150m 이내 구역에 외부인이 사실상 출입할 수 없도록 통제했다.

이 '진공화' 공간 밖 헌재 인근 주요 집회 현장에는 탄핵 찬·반 집회 참가자들의 동선이 겹치지 않도록 안전펜스와 바리케이드, 차벽 등으로 분리해 충돌 가능성을 최소화 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일인 4일 오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인근 거리 통제와 함께 경찰 병력이 방호복을 착용한 채 대기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일인 4일 오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인근 거리 통제와 함께 경찰 병력이 방호복을 착용한 채 대기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헌재가 이날 오전 11시 22분쯤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파면 결정을 내린 직후, 일부 지지자들이 격앙된 반응을 보였지만 경찰은 신속히 상황을 통제했다. 헌재 인근 안국역 앞에서 한 남성이 곤봉을 휘둘러 경찰 버스 유리창을 깨는 돌발 행위가 있었으나, 곧바로 현행범 체포됐다. 서울 종로경찰서는 오전 11시 48분쯤 공용물건손상 혐의로 이 남성을 체포했고, 현장에서 곤봉도 압수했다.

이번 집회는 사안의 민감성 탓에 탄핵 찬반 양측 간 물리적 충돌 우려가 컸다. 올해 초 극렬 지지자들은 윤 전 대통령 구속영장 발부에 반발해 법원에 난입, 폭동까지 일으켰던 터라 사회적 긴장도는 특히 높았다. 경찰도 이를 고려해 선고 당일 전국에 최고 수준 비상근무 단계인 '갑호비상'을 발령하고, 서울에 기동대 인력만 1만 4천명을 투입했다.

종로와 중구 일대는 '특별 범죄예방 강화구역'으로 지정돼 총경급 지휘관 8명이 현장을 통제했고, 형사들도 곳곳에 배치돼 불법 행위자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이 이뤄졌다. 이호영 경찰청장 직무대행은 지난 2일 "시설 파괴, 재판관 등에 대한 신변 위해나 경찰관 폭행에 대해선 법치주의에 대한 도전으로 간주하고, 현행범 체포와 구속 수사를 원칙으로 하겠다"며 불법 행위에 대한 무관용 처벌을 경고한 바 있다.

서울시와 소방당국의 총력 대응도 안정적인 집회 관리에 한 몫 했다. 서울소방재난본부는 700여 명의 소방 인력과 장비 차량 136대를 서울 도심 4개 구역에 분산 배치해 만일의 사태에 대비했다. 헌재와 광화문 일대에만 500명 이상이 투입됐고, 현장 진료소도 운영됐다.

서울시 재난안전실에 따르면, 이날 탄핵 찬반 집회와 관련한 부상자는 총 3명으로, 중상자는 발생하지 않았다. 오전 5시쯤 안국역 인근에서 집회 참가자 1명이 병원으로 이송됐고, 한남동에서는 낮 12시와 오후 2시에 각각 어지럼증이나 두통을 호소한 2명이 현장에서 처치 받았다.

이번 총력 대응의 배경에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 벌어진 시민 사망 참사가 재발해선 안 된다는 경각심도 작용했다. 2017년 3월 10일 당시 헌재의 파면 선고 직후 일부 극렬 지지자들의 경찰 버스 탈취와 무차별 돌진 등의 극단적 사건이 발생했으며 그 여파로 집회 참가자 4명이 숨졌다.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