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제공산불 이후 산사태 위험이 커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온 가운데, 경상북도가 산불 피해 지역 중 일부 지역에 대해 산사태 긴급조치를 실시하기로 했다.
21일 경상북도는 한국치산기술협회가 지난달 31일부터 이달 11일까지 경북 산불 피해지의 산사태 우려 지역을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총 64개소를 긴급조치 대상지로 정했다고 밝혔다.
지역별로 안동 18개소, 의성 19개소, 청송 10개소, 영양 5개소, 영덕 12개소다.
경상북도는 긴급조치 대상지에 대해 다음달까지 식생 마대 쌓기, 물길 돌리기, 방수포 덮기 등 산사태 예방을 위한 긴급조치 작업에 나설 계획이다.
앞서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연구원은 대형산불 지역일수록 산사태에 더욱 취약하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국립산림과학원이 2005년 전북 남원지역 산불 발생 이후 5년 뒤에 피해 지역을 조사한 결과 산사태 발생 비율이 일반 산림지역에 비해 200배 높았다.
또 산불 피해 지역의 토양은 물리적 성질이 약해져 빗물이 흙 속으로 스며들지 못하고, 지표면으로 많은 양의 흙이 흘러내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로 2000년 동해안 산불 피해지의 시계열적 토사량을 측정한 결과, 산불 발생 후 2년이 경과했는데도 토사량은 1275g/㎡ 이상 유출돼 일반 산림에 비해 유츌량이 3~4배 높았다.
아울러 산불로 죽은 나무의 뿌리가 부패되면서 토양을 붙잡고 있는 힘이 떨어지고, 장마철이나 집중호우가 쏟아지면 쉽게 토양이 무너져 대형산불 피해 지역일수록 여름철 산사태 위험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