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로학원 제공2025학년도 수도권 주요 17개 대학 인문계 학과 정시 합격생 중 55.6%는 이과생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과생들이 높은 수학 표준점수를 바탕으로 문과에 교차지원해 합격하는 이른바 '문과침공' 현상에 따른 것이다. 입시업계에서는 수학 선택과목으로 미적분이나 기하를 선택하는 학생을 이과생으로 보고 있다.
15일 종로학원이 대입정보포털 '어디가' 공시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25학년도 정시 합격자의 수학 선택과목(미적분, 기하, '확률과 통계')별 응시 비율을 공개하지 않은 서울대, 고려대를 제외한 17개 수도권 주요대 인문계 340개 학과 합격생의 55.6%가 이과학생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대학은 2025학년도 정시 합격 점수 발표시, 수학 선택과목별 응시 비율을 처음으로 발표했다.
인문계 학과의 이과생 합격 비율을 학교별로 살펴보면, 한양대가 87.1%로 가장 높았고, 이어 서강대 86.6%, 건국대 71.9%, 서울시립대 66.9%, 성균관대 61.0%, 이화여대 60.3%, 중앙대 53.8%, 국민대 51.7%, 숙명여대 51.2%, 연세대 50.3% 순이었다.
이에 비해 한국외대 48.1%, 경희대 46.6%, 인하대 38.6%, 홍익대 37.8%, 세종대 28.9%는 이과생 비율이 절반에 못 미쳤다.
연세대는 인문계 학과 합격생 중 50.3%가 이과생이었다. 이과생이 절반을 넘은 인문계 학과는 아동가족학과 100.0%, 응용통계학과 89.5%, 언더우드학부(인문사회) 87.5%, 융합인문사회과학부 86.5%, 통합디자인학과 80.0%, 경제학부 61.7%, 국어국문학과 57.2%, 경영학과 51.5%, 상경계열 51.4%, 문헌정보학과 50.0% 순이었다.
성균관대는 자유전공계열 100.0%, 글로벌융합학부 90.9%, 글로벌경영학과 77.8%, 글로벌경제학과 75.9%였다. 서강대는 인문학기반자유전공학부 100.0%, 지식융합미디어학부 100.0%, 경제학과 89.7%, 영문학부 85.2%였다.
한양대는 교육공학과 100.0%, 영어교육과 100.0%, 정보시스템학과(상경) 100.0%, 한양인터칼리지학부 98.4%, 경제금융학부 98.2%, 경영학부 97.2%였다. 중앙대는 문헌정보학과 92.9%, 응용통계학과 77.8%, 경영학부(글로벌금융) 76.9%, 경제학부 72.0%였고, 경희대는 빅데이터응용학과 83.3%. 자율전공학부 80.7%, 회계세무학과 80.0%, 경제학과 66.6%였다.
100% 이과생으로 채워진 학과는 이화여대 의예과(인문계열 선발)와 뇌인지과학부(인문계열 선발), 한국외대 태국학과와 외국어교육학부(프랑스어교육전공·독일어교육전공) 등 총 21개 학과에 달했다.
종로학원 임성호 대표는 "수학 선택과목 중 미적분이나 기하가 '확률과 통계'보다 표준점수가 높게 형성돼 2022학년도부터 이과생들이 인문계 학과에 교차지원을 하는 '문과침공' 현상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문과침공은 상위권 대학뿐만 아니라 중위권 대학까지 매우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있고, 경제, 경영 등 인문계 인기학과뿐만 아니라 어문계열 학과에서도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며 "이러한 현상은 통합수능이 유지되는 2027학년도까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