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상공회의소와 여수산단공장장협의회는 지난 9일 울산시청을 방문, 기업 투자 지원정책을 벤치마킹하는 시간을 가졌다. 유대용 기자▶ 글 싣는 순서 |
①안팎으로 악재만…불황 속 여수산단의 현주소는 ②'업계 불황' 여수산단은 직격탄…울산은 경쟁력 확보 ③울산시 원스톱 기업 지원 체계 '성과'…갈 길 먼 여수 행정 (계속) |
침체된 여수국가산업단지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가운데 울산시의 친기업 정책이 주목받고 있다.
정부 지원만 바라보는 것이 아닌, 지자체 차원에서 구조적인 지원 체계가 확립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는 이유다.
21일 울산시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시와 5개 구·군이 통합해 운영 중인 기업현장 지원 조직에 한국전력, 한국수자원공사, 울산항만공사 등 공장 인허가와 관련한 외부기관 10여 곳을 추가로 포함하는 등 원스톱 지원 체계를 확대하고 있다.
지자체 외에 인허가 업무를 받아야 하는 기관들과도 기업 애로사항을 공유, 기업의 민원을 한 번에 처리하는 원스톱 지원 체계가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약 9조 3천억 원을 투입하는 샤힌 프로젝트의 경우 내년 6월 완공(같은 해 12월 정상가동 예정)까지 600건이 넘는 인허가가 필요하지만 기업 전담 울산시 공무원들이 발빠르게 움직이면서 수월하게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기업현장 지원 조직이 들어선 2022년 9월 이후부터는 기업에서 관련 기관을 찾아 인허가를 따내는 것이 아닌, 시 공무원이 인허가 협의에 나서는 모습이다.
특히 기업 전담 공무원들은 시청이 아닌 기업으로 출근, 기업의 애로사항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고 있다.
투자유치에 따른 혜택을 보장하는 것보다 인허가 기간 단축 등을 통해 공사기간을 줄이는 것이 훨씬 더 기업에 보탬이 된다는 판단에서다.
울산 샤힌 프로젝트 공사 현장. 유대용 기자샤힌 프로젝트의 경우 대규모 공장부지 안에서 여러 건의 건축행위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게 하는 등 각종 현장지원을 추진, 현재 63%를 웃도는 공정률을 보이며 공사를 이어가고 있다.
울산시는 또한 공사 현장 내 하루 1만 명 규모의 인력을 수용하기 위한 주차장 부지 확보 안건에 대응, 대규모 투자사업 추진 시 주차장 및 야적장 확보에 대한 규제개선을 주도했다.
인허가 단축으로 인한 신규 투자 유치 사례로는 현대자동차 전기차 신공장 인허가 과정을 대표 사례로 꼽을 수 있다.
기존 3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됐던 인허가 과정을 건축허가 전담 컨설팅을 통해 10개월로 대폭 단축, 현대차그룹의 연쇄 투자 초석을 마련했으며 삼성SDI의 배터리 및 양극재 생산 공장 인허가 역시 3년에서 6개월로 줄이면서 추가 투자부지를 확보했다.
이같은 노력으로 민선 8기 들어 지난해까지 울산에서는 532개 기업이 새로 입주하거나 공장 신설과 재투자를 진행, 23조 6745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해 냈다.
기업 유치을 위한 인허가 담당 부서를 운영하면서도 환경과 건축 등 일부 부문으로 한정해 실효성이 떨어지는 여수시와 대조된다.
울산시 송연주 기업현장지원과장은 "민선 8기 들어 공무원이 기업 현장에 직접 파견을 가는 근무가 시작이 됐다. 지자체장의 의지가 확고했기 때문에 가능했다"며 "투자 인허가 해결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두고 현장에서 기업 담당자와 하나의 팀처럼 움직이다보니 자연스럽게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