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KF-16 알래스카 사고는 활주로 대신 유도로 진입 탓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관제탑 '이륙취소' 지시 받고 멈추려 했지만 끝단 벗어나면서 '비상탈출'
美 기지 활주로와 유도로 폭 우리 기지보다 훨씬 넓어 조종사 착오 가능성

KF-16 전투기. 연합뉴스KF-16 전투기. 연합뉴스
지난 11일 미국 알래스카에서 연합훈련 중 발생한 우리 공군의 KF-16 전투기 사고 원인은 활주로가 아닌 유도로(Taxiway)를 잘못 선택했기 때문으로 잠정 파악됐다.
 
공군은 12일 현지에 급파된 사고조사팀이 미국 공군과 임무 조종사 및 관제사 진술, 사고기 상태 등을 확인해 사고 경위를 조사 중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공군에 따르면 3기로 이뤄진 KF-16 편조는 사고 당시 '레드 플래그 알래스카' 훈련이 진행 중이던 미국 아일슨 기지에서 활주로(Runway)가 아닌 유도로로 진입했다. 
 
미국 공군 관제탑은 KF-16 1번기(단좌)가 유도로 상에서 이륙하는 것을 보고, 2번기(복좌)에게 이륙 취소(Cancel Take-off)를 긴급 지시했다. 
 
하지만 2번기는 정지에 필요한 거리가 부족해 항공기를 제대로 정지시키지 못하고 비상탈출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결국 2번기는 유도로 끝단을 지나쳐 풀밭 지역에 멈춰 섰고, 이 과정에서 항공기에 화재가 발생해 파손됐다. 
 
유도로는 주기장에 있는 항공기가 이륙을 위해 활주로로 이동할 때 이용하는 도로로서 사고기가 왜 유도로로 이동했는지는 추가 조사가 필요한 상태다. 
 
일각에선 아이슨 기지의 활주로는 물론 유도로 폭도 우리 공군기지보다 훨씬 넓은 점이 조종사들이 혼선을 일으켰을 원인 중 하나로 추정한다.
 
공군은 이번 사고 원인이 항공기의 기계적 결함이 아닌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레드플래그 훈련에 계속 참가하기로 했다. 
 
국내에 있는 동일 기종의 비행도 13일부터 재개할 계획이다. 비상탈출한 조종사 2명은 건강에 별 이상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군은 "연이은 사고로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드려 다시 한 번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면서 "통렬한 반성과 실효성 있는 후속 조치를 통해 유사 사고가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공군은 지난 3월 KF-16 전투기가 훈련 중 민가를 오폭하는 사고를 낸 데 이어 4월에는 KA-1 공중통제공격기가 연료탱크 등을 잘못 투하하는 사고를 낸 바 있다.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