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진환 기자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12·3 내란사태 수사와 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 사건 수사를 병행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멈췄던 채상병 사건에 대한 수사가 재개될 경우, 피의자로 입건된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조사가 진행될 거라는 관측이 나온다.
공수처 관계자는 8일 기자들과 만나 "일단 당장은 계엄 사건 수사 정리가 필요하다"며 "그러고 나서 멈췄던 채상병 사건과 관련해서도 수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 시점에서는 계엄 사건 수사가 어느 정도 정리 된 상황에서 채상병 수사도 병행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며 "계엄 사건 수사가 완결되고 그 이후에 채상병 수사를 재개하는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현재 진행하는 사건에 검사들이 전원 다 투입돼서 정리가 필요한데 상황을 조금 보고 채상병 수사를 재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공수처 관계자는 "윤석열 전 대통령도 피의자로 입건된 상태"라면서도 "나머지 소환이나 절차는 수사팀 판단이라 말씀드리기 적절하지 않다"고 말했다.
다만 윤 전 대통령이 파면돼 고위 공직자 직위를 잃은 만큼 "기소할 수 있는 사건은 아니"라고 밝혔다.
앞서 윤 전 대통령은 채상병 순직 사건 수사에 외압을 행사한 혐의로 입건됐다. 지난해 8월 공수처는 윤 전 대통령의 개인 휴대전화 통신내역을 확보해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등과의 통화내역을 확인하기도 했다.
또 공수처는 12·3 내란사태와 관련해서도 원천희 국방정보본부장, 주진우 서울경찰청 경비부장 등 10명 안팎의 군·경 관계자들에 대한 수사도 이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