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윤창원 기자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0일 이번주 열릴 한미 관세 협상과 관련해 "섣불리 협상을 타결하기보다는 짚고 넘어갈 사항이 있어 양국이 상호 호의적으로 풀도록 협의를 이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협상은 양국 재무·통상장관이 동시에 참여하는 '2+2' 형식으로 추진된다.
안 장관은 이날 KBS 일요진단 방송에 출연해 "저희는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대미 주력 수출품인 자동차를 비롯한 반도체 이런 부분은 최대한 관세 철폐를 위해서 총력전을 펼 계획"이라며 관세 협상이 장기화할 수 있다고 관측했다.
이어 "트럼프 행정부 관세 정책이 끝난 상황이 아니고, 트럼프 행정부 내내 관세 문제가 이어질 가능성 있다"며 "지금 다 푼다고 상황이 정리되는 게 아니어서 협상 틀을 계속 이어가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안 장관은 또 트럼프 대통령이 일본과의 협상 때처럼 테이블에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보냐는 질문에 "그런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있다. 일본과 상황이 비슷하게 전개될 수도 있다고 생각하고, 그런 시나리오에 대비하고 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협의라는 것이 급한 쪽이 아무래도 여러 수용 여지가 많다"며 "조선·에너지 산업 등 여러 경제·산업 비전을 정확히 제시하고, 그쪽이 고민하는 무역 불균형 문제 구체적으로 다루는 협의를 한다면 좋은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지 않을까 한다"고 내다봤다.
안 장관은 미국 측에서 방위비 문제를 제기할 가능성이 있다고도 했다. 그는 "현재까지 (방위비 의제를) 제기한 것은 없다"며 "그런 의제를 만약 얘기하게 되면 최대한 미국 측 입장 어떤지 듣고 관계 당국 전달해 소관 부처가 대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에 한국 참여를 원하는 것과 관련해서는 "알래스카 측에서도 사업 내용을 다듬어야 할 부분 있는 것 같아 그쪽이 제안한 계획만으로는 파악할 수 없는 게 많아 가서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 있다"며 "일본, 대만, 태국, 베트남도 이 사업 관심을 보여 아시아 국가들이 공동 노력해서 가능해진다면 우리도 여러 좋은 기회 만들 수 있다"고 답했다.
구체적인 협상 형식은 양국 재무·통상장관들이 동시에 참여하는 '2+2' 형식으로 추진된다.
안 장관은 협상이 '2+2' 형식으로 열릴 수 있느냐는 물음에 "몇시간 내 그런 것이 확정돼 발표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답했다.
'2+2' 형식이 확정되면 미국 측에서는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과 무역 정책 수립과 협상 책임자인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나올 것으로 관측된다.
한국 측에서는 경제 사령탑인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과 통상 수장인 안 장관이 참여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