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대선 사전투표까지 2주 밖에 남지 않았지만 국민의힘은 여전히 '원팀'이 되지 못하고 사분오열하는 모습이다. 김문수 후보가 윤석열 전 대통령과 절연하지 않으면서 당내 '찬탄(탄핵 찬성)파'인 한동훈 전 대표가 선거 운동에 참여하지 않고 있고, '한덕수 단일화'로 촉발된 내홍의 여파로 당 선거대책위원회와 김 후보 측의 파열음도 계속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김 후보는 갈등 봉합은 뒤로 한 채 일단 지역을 돌며 유세에 집중하는 등 '마이웨이'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당을 쇄신하겠다며 당내 최연소 김용태 의원을 지정했지만, 정작 힘은 실어주지 않아 의미가 퇴색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쇄신하라며…" 최연소 의원 앉혀놓고 힘은 안 실어주는 김문수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는 당을 쇄신하겠다며 직접 당내 최연소 김용태 의원을 비대위원장에 지명했지만 정작 힘은 하나도 실어주지 않고 있다.
국민의힘 김용태 공동선대위원장. 윤창원 기자
김용태 의원은 비대위원장으로 취임하는 15일 윤 전 대통령 탈당·제명과 관련한 당의 입장을 정리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에 김 의원이 당 차원에서 윤 전 대통령과 선제적으로 선을 긋고, 후보는 당의 뜻을 따르겠다며 수용하는 '투트랙 전략'으로 가는 것 아니겠냐는 해석이 나왔다.
그러나 김 의원 발언 이후에도 김 후보는 윤 전 대통령 탈당은 '본인 의사에 따라야 한다'는 취지의 입장만 반복하고 있다. 13일 대구에선 "윤 전 대통령께서 잘못한 부분이 있다면 우리 당에게도 책임이 있는 것"이라고 했고, 14일 사천에서도 "대통령의 판단을 존중하는 게 옳다"고 반복했다. 결국 김 후보의 고집을 꺾지 못하고 쇄신 의지를 다졌던 김 의원이 뜻을 접는 게 아니냐는 전망도 나온다.
당 선대위가 '친윤(친윤석열계)' 일색으로 꾸려질 때부터 이미 예상된 바라는 지적도 나온다. 선대위 핵심은 일정·메시지·수행인데, 현재 일정단장은 강명구 의원, 메시지단장은 조지연 의원, 수행단장은 이만희 의원, 수행부단장은 이용 전 의원이 맡고 있다. 이들은 전부 지난 대선에서 윤 전 대통령 캠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맡았던 인사들이다.
당이 윤 전 대통령을 끊어내지 못하면서 탄핵 찬성에 앞장섰던 한동훈 전 대표는 선대위원장직을 고사하고 유세에도 참여하지 않고 있다. 한 전 대표는 "이길 수 있는 길은 분명하다"면서 "그러나 그 반대로 가는 움직임이 보여 안타깝다"고 비판했다.
당 관계자는 "선대위를 왜 이렇게 짰는지 모르겠다. 친윤 색을 더 빼야 한다"고 비판했다. 선대위 신동욱 수석대변인은 이에 대해 "저희 당에 친윤이 어디 있나. 선거전에서는 저희 당은 다 친김문수"라고 일축했다.
선대위-캠프 따로 가동…김문수는 지역 행보 '마이웨이'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가 14일 오후 경남 밀양시 중앙로에서 열린 선거유세에서 지지자들에게 연설을 하고 있다. 김 후보 뒤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의 대형 현수막이 보이고 있다. 밀양=황진환 기자한덕수 전 국무총리와의 단일화 갈등 후폭풍으로 선대위가 '원팀'을 이루지 못하고 있는 정황들도 속속 나오고 있다. 여전히 경선 당시 김 후보 캠프에서 뛰었던 인사들 대부분이 선대위에 합류하지 않고 별도로 활동하고 있다. 실제 후보 일정도 캠프 인사들이 정하고 선대위에 알리는 식으로 짜이면서 혼선이 빚어지기도 했다.
김 후보 측 인사는 "선대위 인선도 한덕수 전 총리 측이 사인해서 꾸린 것이란 말이 있다. 후보가 몇몇 인사만 교체하라고 하고 일단 그대로 가자고 하면서 확정된 것"이라며 "당에서 후보를 날리려고 했는데 이제 와서 어떻게 믿을 수 있겠나. 당은 당대로 하라고 하고, 우린 우리대로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여기에 보수 진영내 조직 관리를 주로 맡아왔던 새로운미래를준비하는모임(새미준) 이영수 회장이 김 후보 선대위와 캠프 내에 아스팔트 극우인 이른바 '태극기 세력'이 대거 포진돼 있는 것을 이유로 합류를 거절하는 등 세력 갈등도 이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임에도 김 후보는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된 12일부터 사흘 내내 지역을 돌며 지역 유세에만 집중하고 있다. 후보 확정도 늦어지고, 조기 대선으로 선거 운동 기간 자체가 짧은 만큼 어쩔 수 없이 '일단 고(Go)'를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여러 군데에서 동시다발적으로 파열음이 발생하는 데다가, 본 선거일까지는 물론 그 이후까지 분열이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면서 당이 분열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지고 있다. 당 관계자는 "대선에서 질 경우 보수 진영은 갈기갈기 찢어질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