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제22대 국회 2기 원내대표 후보 합동 토론회에서 후보로 나선 김병기 의원(왼쪽)과 서영교 의원이 취재진 카메라를 향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연합뉴스6.3 조기대선 이후 집권 여당이 된 더불어민주당의 새 원내사령탑을 뽑는 선거가 13일 열린다.
자타공인 '친명'으로 꼽히는 서영교·김병기 후보의 양자대결이 예정돼 있는 가운데, 사상 처음으로 도입되는 권리당원 투표(20% 비중)의 향방도 주목을 받고 있다.
민주당은 이날 오후 2시부터 의원총회를 열어 양 후보자의 정견발표를 진행한 뒤, 의원 투표(80%)와 권리당원 온라인 투표(20%) 결과를 합산해 과반수 득표로 신임 원내대표를 선출한다.
신임 원내대표의 책무로는 무엇보다 '원활한 당정 협의'가 꼽힌다. 조기대선 승리로 여당이 된 뒤 곧장 원내사령탑을 뽑는 만큼, 대통령실과 호흡을 맞추는 일이 필수적이다.
당내에서는 두 의원 모두 이재명 당 대표 시절 호흡을 맞춰 본 경험이 있는 만큼, 어느 쪽이 원내대표가 되더라도 원만한 당정관계가 될 것이라는 시각이 많다. 서 의원은 이재명 당 대표 1기 지도부에서 최고위원을 했고, 김 의원은 22대 총선 당시 이른바 '친명횡재 비명횡사' 논란을 무릅쓰고 공천관리위원회 간사를 지냈다.
민생경제 회복과 내란 종식 그리고 검찰·사법개혁 등, 민주당이 내세우고 있는 개혁과제 이행도 중요한 과제다. 특히 이 대통령은 '법과 제도에 의한 개혁'을 강조하는 만큼, 당정이 추진하는 법안을 야당과의 소통·협상을 통해 매끄럽게 처리할 필요성이 크다.
박찬대 원내대표 겸 당 대표 직무대행은 전날 퇴임 기자간담회에서 "민생경제 위기 극복이 가장 시급하다. 추가경정예산안(추경) 편성과 함께 물가안정 TF를 준비하고 있다"며 "새 원내대표단이 꾸려지면 당정협의를 통해 국민 민생을 빠르게 회복할 수 있는 부분을 처리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와 함께 "주가가 나날이 올라 코스피 지수 3천을 곧 돌파할 것 같은데, 우리 경제의 펀더멘탈(기본)이 바뀐 것은 없고 경기에 대한 기대 심리인 것 같다"며 "이재명 대통령이 말한 정책 제안들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은데 이를 뒷받침해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서 의원도 전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원내대표가 되면 가장 먼저 처리할 1호 법안'을 묻는 질문에 "전 국민 민생회복지원금"이라며 "코로나19 유행 때 행정안전위원장을 하면서 이 법안을 해 봤는데, (경기가) 살아났다"고 말했다.
그는 "(전 국민 대상이 아닌) 선별적으로 지급해도 나갈 돈은 비슷하게 나가는데, 효과가 없다. 이 대통령은 저와 생각이 같으셨을텐데 기획재정부는 선별 지급을 요구한다"며 "강력하게 가르마를 탈 수 있도록 주장하면 대통령의 마음에도 힘이 실리고, 기재부도 취지를 알 수 있는 시그널이 될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을 상징하는 대표적 정책으로도 꼽히는 '전 국민 25만원 민생회복지원금'을 1호 법안으로 추진해 힘을 싣겠다는 의사를 밝힘으로써, 권리당원 투표에서 표심을 사로잡겠다는 행보로 해석되는 대목이다.
이번 원내대표 선거에 처음으로 도입된 권리당원 투표는 34표 정도의 비중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선거의 새로운 변수로 여겨지고 있다. '친명'인 두 후보 모두 의원·당원 투표에서 표심이 크게 나뉘진 않을 것이라는 예상이 많아, 근소한 차이로 승부가 갈릴 수 있다는 예측이 나온다.
이를 의식한 듯 김 의원도 유튜브 방송에서 "이재명 정부의 개혁 동력이 가장 강한 기간이 이번 1년이다. 1년 동안 민주정부의 성공을 위한 교두보를 확보해야 하는데 시간이 별로 없다"며 "'내란 종식'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제가 그전부터 해 왔던 업무라서 잘 할 수 있지 않을까"라고 강조했다.
본인이 정계 입문 직후부터 국가정보원법 개정 등 민주당이 꾸준히 추진하던 권력기관 개혁에 나섰던 점을 강조하며, 서 의원과 마찬가지로 당원들의 표심을 사로잡으려는 의도로 해석된다.